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한국인의 Human microbiome metagenomics 핵심연구 발굴

  • 등록일2011-07-18
  • 조회수11854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1-07-15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metagenomics#메타제노믹스
  • 첨부파일

한국인의 Human microbiome metagenomics 핵심연구 발굴


Co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human microbiome metagenomics in Korean population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메타제노믹스연구 기획위원  


Ⅰ. 들어가는 말


사람에 상재하는 세균은 인체를 구성하는 세포보다 열배 가량 많은 대략 1014개이며, 사람의 세포와 상호 작용을 하고 있다.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은 인공적으로 배양이 가능한 미생물, 바이러스 등의 생물체에 대한 연구를 주로 수행하여 왔다. 하지만 최근에 시료 안에 존재하는 생물체의 DNA를 모두 합친 것을 의미하는 metagenome이라는 용어가 대두되면서 최근 몇 년 동안 배양이 잘 되지 않는 미생물을 연구하는 메타제노믹스(metagenomics) 분야가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사람의 장, 호흡기, 피부, 생식기 등의 인체 상피세포에 주로 존재하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모든 미생물군의 집합체인 human microbiome이 인체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고 질병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서 외국에서는 metagenomics라는 기법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1-3]. 하지만 한국에서는 metagenomics라는 기법을 이용한 환경에 대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어 왔으나, 인체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이러한 국내 상황 하에 질병관리본부에서는 2011년 봄, metagenomics 기법을 이용하여 의학적인 측면에서 이용가치가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 과제를 발굴하고자 metagenomics 연구 기획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이에 본 글에서는 향후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human microbiome metagenomics의 핵심연구 발굴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