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보건의료산업의 필수 기초재료, 인체자원 50만명분 수집

  • 등록일2011-12-19
  • 조회수8492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1-12-19
  • 출처
    질병관리본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인체자원은행#바이오뱅크#보건의료산업#인체자원#한국인체자원네트워크
  • 첨부파일

보건의료산업의 필수 기초재료, 인체자원 50만명분 수집
 

- 계획보다 1년 이상 앞당겨 4년만에 목표 달성 -

 


□ 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전병율)는 12월 19일(월) 한국인체자원은행네트워크(KBN)*을 통해 수집된 인체자원이 50만명분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 한국인체자원은행네트워크(KBN) : 질병관리본부 인체자원중앙은행과 대학병원에 부설된 17개 인체자원단위은행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 인체자원이란 생명과학(BT) 및 보건의료(HT: Health Technology) 연구(예, 신약개발, 진단기술 연구 등)에 필수 기초재료로 활용되는 인체에서 유래된 혈액/혈청, 뇨, 조직 및 DNA 등을 말하며,


 ▶ 바이오뱅크(인체자원은행)는 인체자원을 수집·보관하고 연구 목적 등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자 등에게 분양하는 역할 수행.

 

○ 이는 정부가 ’08년 본 사업을 시작하면서 50만명분 수집을 목표한 2012년을 1년 이상 앞당긴 4년만에 달성한 것으로


   - 국가적 차원에서 50만명분을 수집한 영국이 5년(’06?’10)이 소요됐고, ’02년부터 사업을 시작한 일본이 ’10년까지 30만명분을 수집한 것을 감안할 때 단기간내 자원을 효과적으로 확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 수집된 50만명분의 인체자원은 전체 인구의 1%에 해당하는 것으로, 중앙은행이 일반인 31만명분을, 병원중심의 17개 단위은행이 질환자별로 19만2천명분을 수집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310,078명분, 서울아산병원 30,108명분, 경상대병원 28,227명분, 순천향대부천병원 26,243명분, 부산대병원 22719명분, 경북대병원 13,028명분 등


   - 중앙은행에서 수집한 일반인 자원은 만성질환 연구 및 환자-대조군 연구의 대조군으로, 단위은행에서 수집한 질환군별 자원은 특정질환 연구 수행에 활용된다.


□ 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향후 확보한 50만명분의 인체자원을 체계적으로 재분류하여 연구자, 대학·연구소 등 자원이 필요한 분야에 적극 분양할 계획이다.


 ○ 이를 위해 연구자 등이 자원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KBN 홈페이지(http://kbn.cdc.go.kr)에 중앙은행 및 17개 단위은행의 자원보유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 단위은행, 연구자, 병원 등과 민·관·연 협의체를 구성하여,  One-stop 분양시스템 구축 등 기존 분양시스템의 개선방안을 ’12년내에 마련할 예정이다.

 


    ※ 분양 관련 문의 : 질병관리본부 생물자원은행과(043-719-8922)

 


붙임자료

 

         1.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Korea Biobank Project, KBP) 개요
         2. 은행별 인체자원 보유현황
         3. 인체자원은행 현 분양 절차
         4. 외국 바이오뱅크 사례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