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TonEBP(NFAT5) 전사조절인자의 염증에서의 역할
- 등록일2011-12-30
- 조회수7662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1-12-14
-
출처
한국분자세포 생물학회 뉴스지
- 원문링크
-
키워드
#전사조절인자#염증#전사조절#TonEBP#NFAT5
- 첨부파일
TonEBP(NFAT5) 전사조절인자의 염증에서의 역할
권혁무 UNIST 나노생명화학공학과
TonEBP (tonicity-responsive enhancer binding protein) 는 원래 고장성에 의해 촉진되는 전사를 매개하는 전사조절인자로 발견되었다 (PNAS 96: 2538, 1999) . DNA binding domain이 NFAT와 50% 가까운 아미노산 일치가있어서 일명 NFAT5 라고도 한다. 그러나, NFAT와는 달리 칼슘에 의한 조절을 받지 않으므로 엄밀히 따지면 TonEBP를 NFAT라고 할 수는 없다. 아미노산 일치는 20% 를 넘지 못하지만 DNA binding domain 의 결정 구조가 의외로 NFkB 와 닮은 점으로 보아 (Nature Struct Biol 9:90 2002) TonEBP는 NFAT, NFkB와 같이 Rel fami ly에 속한다고 본다.
........(계속)
관련정보
지식
- BioINpro [면역제어 기술]대사·후성유전학 기반 면역노화(immunosenescense)의 이해 2023-11-21
- BioINwatch 장내 바이롬(virome) 차이가 염증성 장질환을 유발 2022-05-12
- BioINdustry 신장약 유럽 허가 획득 등.. 2009-06-25
- BioINdustry Forest and Cypress, 류머티스성 섬유조직염증 치료제 FDA로부터 승인 획득,Antisoma, 폐암 치료제 임상 3상 연구 착수 등.. 2009-01-29
- BioINdustry GTC, 인간 항트로빈 생산에 대해 FDA 자문위로부터 긍정적 의견 획득, Roche, 결장직장암 치료제 임상 3상 결과에 고무 등.. 2009-01-22
동향
- 기술동향 디지털헬스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전 2024-12-30
- 기술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빅데이터(K-COV-N) 연구 성과 소개 및 활용방안 2024-12-27
- 기술동향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현재의 연구 동향과 미래 전망 2024-11-21
- 기술동향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변이 바이러스 유행 현황 및 세포기반의 오미크론 세부계통 KP.3 감염성 분석 2024-10-28
- 정책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접촉추적격리 정책 국제 비교 및 정책 효과 시뮬레이션 연구 2024-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