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한국인의 돌연변이 데이터베이스(KMD)
- 등록일2012-04-04
- 조회수6993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2-04-03
-
출처
국립보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돌연변이 #KMD#돌연변이 데이터베이스#한국인 유전질환 #Human Mutation
- 첨부파일
한국인의 돌연변이 데이터베이스(KMD)",
국외 유명 저널 이달의 주목할 논문 선정
- 한국인 유전질환 돌연변이 데이터베이스 Human Mutation 저널의 이달의 주목할 만한
논문으로 선정 -
□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조명찬)은 한국인 돌연변이 데이터베이스 (KMD, http://kmd.cdc.go.kr)에 대한 내용이 유전질환 관련 저명학술지인 ‘Human Mutation’의 ‘이달의 주목할 만한 논문’으로 선정되어 4월 호에 게재되었다고 밝혔다.
※ KMD: Korean Mutation Database for Genes Related to Diseases. Human Mutation 33:E2332-E2340 April 2012.
□ ‘Human Mutation’의 편집자는 “KMD는 유전질환의 원인인 돌연변이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데이터베이스로 한국인에서 발견된 돌연변이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고 언급하였다.
○ 유전체 분석 기술의 발달로 희귀질환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유전질환에 대한 진단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이들 질환의 돌연변이 정보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아 진단에 어려움이 있었다.
○ KMD는 질환별, 유전자별 검색이 가능하고 정상인에서의 유전자 염기서열 및 유전자다형성 정보도 함께 제공함으로써 유전자 진단시 유용하고, 누구나 정보검색을 할 수 있다.
□ KMD는 2009년 개발되어 현재 약 240여 개 유전자에서의 돌연변이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검색 뿐 아니라 연구자들이 돌연변이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돌연변이 정보는 일반에게 공개되고 있다.
○ KMD는 국내에서 보고된 유전질환의 돌연변이 정보를 수집하여 공개함으로써, 국내 유전질환의 진단에 활용하고 희귀?유전질환 연구 활성화 및 진단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KMD 이전에 질환을 중심으로 돌연변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사례는 있었으나, 한 나라에서 발굴된 유전자 돌연변이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한 DB는 거의 없는 실정으로 KMD는 2010년 Human Variome Project 미팅에서도 우수한 성과로 소개된 바 있다.
□ KMD는 임상적으로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최신 유전체 분석 기법인 NGS 연구자료로부터 얻은 정상인의 염기서열 등을 추가하는 등 앞으로도 지속적인 시스템을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 2012년부터는 보건의료기술개발 희귀질환 연구사업 성과물의 KMD 등록이 의무화됨으로써 중개연구 성과가 실제 임상에 활용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보건사회연구원 관계자는 “KMD를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된 한국인 돌연변이 정보를 확보하여 제공함으로써 연구 및 진단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 “이를 통해 한국의 희귀?유전질환자들의 진단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희귀?유전연구의 활성화와 진단기술 발전에 따른 국가 경쟁력 증가 및 국제협력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붙임 1> 한국인 돌연변이 데이터베이스 (KMD) 개요
○ Korean Mutation Database (KMD, http://kmd.cdc.go.kr)는 한국인 유전질환 돌연변이 정보 검색 및 등록 시스템이다.
- 이는 국내에서 보고된 유전질환의 돌연변이정보를 수집하여 공개함으로써, 이를 통해 국내 유전질환의 진단에 활용하고 희귀?유전질환 연구 활성화 및 진단기술 발전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 정부연구기관인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운영함으로써 지속적인 데이터 등록 및 관리가 가능하다.
○ KMD는 질환 명, 유전자 명, OMIM ID 등 다양한 검색 카테고리를 가지고 있어 국내 관련 전문가 및 연구자들이 쉽고 빠르게 사용 가능한 무료 시스템이다.
○ 국내?외 수 백여 논문의 돌연변이 데이터를 소장하고 있으며, 찾기 힘든 국내 논문의 돌연변이까지 검색 가능한 인프라 데이터베이스 망이다.
- 또한, 새롭게 발견되는 유전자 돌연변이 정보가 공유될 수 있도록 연구자 등록이 가능하다.
- 임상의 및 연구자들의 자발적인 등록(돌연변이 정보 입력)이 가능하 며, 검증을 거쳐 공개된다.
○ 향후 한국인 돌연변이 정보뿐만 아니라, 유전자다형성 빈도에 대한 정보 등을 확대, 제공할 예정이다.
○ 데이터 보유 현황
(2012. 3. 19. 시점)
희귀?유전질환 수 |
유전자 수 |
돌연변이 수 |
희귀?유전질환자 수 |
KMD SNP 수 |
논문 수 |
475 |
245 |
1,654 |
4,143 |
56 |
299 |
○ KMD 웹사이트 주요 화면
<붙임 2> In This Issue in Human Mutation
-
이전글
- New Approaches to Biochemical Sensing with Plasmonic Nanobiophotonics
-
다음글
- 케라틴 세포에서 Malassezia furfur 감염에 대한 Cecropin A(1-8)-Magainin2(1-12) 하이브리드 펩타이드 유사체인 P5의
동향
- 기술동향 IGH 유전자 가변부위 돌연변이 [염기서열검사] 2023-09-14
- 제도동향 [KBCH브리핑] NGT 식물에 대한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규정 제안서 분석(2023-13) 2023-07-12
- 기술동향 영국에서 코로나19 돌연변이 바이러스 확산, 4단계 신설해 긴급 봉쇄 2020-12-24
- 기술동향 코로나19 바이러스 돌연변이 발생으로 감염력 증가, 백신효과 감소 가능성을 제기한 연구결과들 2020-06-24
- 기술동향 ‘코로나19 바이러스(COVID-19)’의 돌연변이 속도는 백신 개발을 크게 저해할 수준은 아닐 것으로 전망 2020-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