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간의 케톤체 생성 조절에서 mTOR 하부 신호 전달자, S6 Kinase 2의 역할 규명

  • 등록일2012-08-10
  • 조회수7002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2-08-01
  • 출처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웹진
  • 원문링크
  • 키워드
    #케톤체 #mTOR 하부 신호 전달자#간# S6 Kinase 2
  • 첨부파일

 

간의 케톤체 생성 조절에서 mTOR 하부 신호 전달자, S6 Kinase 2의

역할 규명
S6 kinase 2 deficiency enhances ketone body production and increase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 activity in the liver

 


엄성희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분자세포생물학교실 조교수
김경진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분자세포생물학교실 박사후연구원


연구배경
 
비만,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과 같은 대사 증후군에서는 영양분 인지 장애 및 영양분 항상성의 비정상적인 조절이 나타난다 (1). 영양분의 항상성은 케톤체 형성과 당신생 과정에 의한 에너지 생성과 지방산화와 같은 에너지 소모 사이의 균형에 의해 조절되는데, 간은 이 과정을 조절하는 주요한 장기로서 알려져 있다 (2,3). 영양분이 결핍되었을 때, 간은 지방산을 케톤체로 전환하여, 에너지 원천으로써 제공하게 되는데, 이 과정은 핵 수용체인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 (PPARα)에 의해 조절된다 (4,5).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