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FADD 단백질의 유비퀴틴화 및 분해를 통한 extrinsic apoptosis 및 necroptosis 조절기전

  • 등록일2012-11-06
  • 조회수8712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2-11-01
  • 출처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웹진
  • 원문링크
  • 키워드
    #FADD 조절기작#유비퀴틴#세포사멸#apoptosis#necroptosis
  • 첨부파일

 

FADD 단백질의 유비퀴틴화 및 분해를 통한 extrinsic apoptosis

및 necroptosis 조절기전


Ubiquitination and degradation of the FADD adaptor protein regulate death receptor-mediated apoptosis and necroptosis. 


Nat Commun. 2012 Jul 31;3:978.

 


송재환(Ph.D.)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이은우(Ph.D.)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연구배경
 
Apoptosis는 미토콘드리아 막의 투과성 증대로부터 시작되어 caspase-9을 통해 유도되는 내인성경로(intrinsic pathway)와 세포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death receptor(DR)가 활성화 됨으로써 caspase-8을 통해 유도되는 외인성경로(extrinsic pathway)로 크게 구분된다(1). 대표적인 DR로는 TNFR1, TRAIL-R1/R2(또는 DR4/5), Fas/CD95이 있으며, 이 수용체들은 공통의 어댑터 단백질인 FADD를 통해 caspase-8의 활성화를 유도한다(2). 또한, FADD는 세포 주기, 성장 및 autophagy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FADD는 DR에 의한 apoptosis에 필수적이며, 다양한 생명현상에 관여하는 단백질임에도 불구하고 그 조절기작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FADD 단백질의 조절작용으로는 유일하게 인산화가 알려져 있지만 이 작용은 세포 사멸보다는 세포주기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3).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