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국소적 mRNA 번역을 통한 유전자 발현의 지방 자치
- 등록일2014-03-14
- 조회수6665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4-03-04
-
출처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유전자 발현# mRNA 번역# mRNA#표적신호
- 첨부파일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뉴스지 3월호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정제인 (연세대학교 의과학과 석박사 통합과정), 정호성 (연세대학교 의과학과/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세포는 특정 단백질을 특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생물학적 으로 의미 있는 신호를 만든다. 흔히 단백질 ‘위치’에 대한 정보는 단백질에 내재해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미토콘드리아 표적 신호(mitochondrial targeting signal)라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단백질은 세포질 아무 곳에서나 만들어진 후 미토콘드리아로 ‘수송’될 것이다. 물론 많은 단백질이 ‘단백질 표적 신호’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으로 수송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와 별개의 기전도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단백질을 코딩(coding)하는 mRNA가 단백질이 있어야 하는 곳에 이미 저장되어 있고, 필요할 때마다 그 자리에서 번역되어 단백질이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본 논단에서는 국소적 번역의 세포생물학적 의미를 뉴런(neuron)을 모델로 하여 설명하고, 이 기전과 신경계 질환의 연관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