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박테리아 쿼럼센싱 시스템의 합성생물학적 응용
- 등록일2014-05-20
- 조회수7135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4-05-07
-
출처
지능형 바이오시스템 설계 및 합성연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합성생물학#박테리아#쿼럼센싱#쿼럼센싱시스템#자가유도물질
- 첨부파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상윤, 권오석
1. 개요
박테리아는 진핵 생명체와 달리
비록 막으로 둘러싸인 핵이나 다른 세포내 기관이 없는 단세포의 원핵 생명체이지만 다양한 화학적 언어를 통하여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즉 박테리아는 자가유도물질 (autoinducer, AI)이라는 화학적 신호전달 물질을 생산하여 분비할 수 있으며 주변 미생물에 의해
분비되는 특정 AI를 감지하고 반응하는 쿼럼센싱 (quorum
sensing)이라는 상호 신호전달 기전을 갖고 있다. 이는 특정 신호전달 물질을 매개로
신호를 주고받는 미생물들은 해당 물질의 농도가 임계치를 초과하게 되면 그들의 유전체 발현 변화를 함께 조율하게 된다 [Waters and Bassler, 2006]. 이렇게 한 군집 내 박테리아가 유전체 발현을 함께 조절함으로써
마치 다세포 생명체처럼 일치된 반응을 보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많은 박테리아는 쿼럼센싱을 통하여
이차대사산물 생산, 생물발광, 단백질 분비, 운동성, 포자 형성,
병원성 인자 생산, 플라스미드 전달,
바이오필름 형성, 스트레스 반응 등 다양한 세포 활성을 조절한다 [Williams, 2007].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 BioINpro [국가 바이오 경쟁력] 국가 바이오 경쟁력 평가: 합성생물학(과학기술)과 바이오파운드리(인프라)를 중심으로 2025-04-14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regulation 바이오 분야 비용편익분석: '합성생물학 개발·실험 규제완화’를 중심으로 2024-10-07
- BioINwatch 장내 박테리아의 유전자를 바로 그 자리(in situ)에서 편집하는 Base editing 시스템 2024-07-19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