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약동-약력학 모델링과 신약 개발

  • 등록일2014-08-22
  • 조회수9925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이 자료는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울아산병원 임상약리학과 임형석 교수


1. 약동학 (Pharmacokinetics) 및 약력학 (Pharmacodynamics)


약을 투약하면 아래 그림 1과 같이 약동학 및 약력학적인 과정을 거쳐서 치료효과 및 이상반응이 발현된다. 따라서 약동학과 약력학은 약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이다.

약동학은 약의 용량과 체내 약물 농도 관계를 설명하는 학문이다. 약물의 농도는 현실적인 이유로 많은 경우 혈중 농도를 대상으로 한다. 약동학은 흔히 ADME (absorption, distribution, metabolism, excretion)의 학문이라고 말한다. 그 이유는 ADME 각각의 과정이 약물의 이동량과 속도를 파악하면 임의의 용량 용법에서 시간에 따른 혈중 약물 농도를 정확히 기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약동학적 분석은 해당 약물의 ADME 과정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약력학의 관심 대상은 치료효과 및 이상반응이다. 치료효과 혹은 이상반응을 약물의 용량 이나 농도로 설명, 즉 용량 혹은 농도와 효과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약의 효과는 경험적으로 최대효과모형, 즉 약의 용량을 증가시키면 효과도 증가하지만 특정 용량 이상에서는 더 이상 효과의 증가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대효과모형을 구성하는 주요 파라메터로는 최대효과를 나타내는 Emax, 효능 (potency)을 나타내는 EC50 등이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