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면역억제제(thiopurine) 부작용 백혈구 감소증 원인 유전자 발굴 연구 경험
- 등록일2015-01-08
- 조회수5908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4-12-30
-
출처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면역억제제#유전자#백혈구 감소증#유전자발굴#thiopurine
- 첨부파일
이 자료는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뉴스지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송 규 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분자생물학교실)
1983년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의과대학 유전학과에서 내 박사학위 주제는 ‘포유류의 체세포에서도 homologous recombination이 일어나는가’였다. 이 단순한 질문을 던진 분은 그 당시 위스콘신주립 대학의 Oliver Smithies 박사로 homologous recombination을 이용하여 체세포의 유전자 조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 2007년 노벨상을 수상하셨다. 지금은 homologous recombination을 이용한 유전자조작 동물을 만드는 일이 별 것 아니지만 그 시대에 이 질문은 매우 참신한 것이었다.
Oliver의 아이디어는 매우 간단했다. neomycin resistant 유전자 좌우에 deletion이 있는 plasmid를 각 각 만들어 세포주에 넣으면 두개의 plasmid를 동시에 넣어 plasmid간에 homologous recombination이 일어나야만 온전한 neomycin resistant한 유전자가 생겨 약물을 넣어주어도 세포주가 잘 자랄 것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watch 작물 중개 유전체학에 거는 기대와 도전 과제 2025-01-24
- BioINpro [KRIBB 워킹그룹] 국내외 LMO 관련 바이오신기술 규제 동향 2025-01-15
- BioINwatch 야생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활용하여 재배종의 농업적 형질을 향상 2024-11-28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