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식이보충제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식이보충제로부터의 영양소섭취 현황

  • 등록일2015-03-10
  • 조회수5440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5-03-05
  • 출처
    질병관리본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식이보충제#데이터베이스#영양소섭취#보충제#영양성분
  • 첨부파일

 출처 :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질병

 

식이보충제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식이보충제로부터의 영양소섭취 현황
Development of Dietary Supplement Database and Nutrient Intakes from Dietary Supplements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건강영양조사과
윤성하, 김현자, 오경원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dietary supplement database(DB) and to assess nutrient intakes from dietary supplements. Using a 24 hour recall data from the fifth KNHANES first and second years (2010, 2011), we developed the nutrient database of 1,658 supplements and then calculated nutrient intakes(calcium, phosphorus, iron, Vitamin A, thiamin, riboflavin, niacin and vitamin C) from dietary supplements. Among Korean above 1 year old, 20.3%(men 17.2%, women 23.5%) consumed dietary supplements. Nutrient intakes from food and dietary supplements were higher than from food only, especially in thiamin, riboflavin and vitamin C. Also, dietary supplement use contributed to decrease the prevalence of nutrient deficiency and increase the prevalence of excessive intake of vitamin A and iron. However, degree of contribution to nutrient intakes of dietary supplements were small among Korean. The newly established dietary supplement DB will be an important source for more accurate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mong Korean.


I. 들어가는 말

우리나라 국민의 식이보충제 복용경험률(만 1세 이상, 표준화율)은 2013년 44.0%(남자 41.0%, 여자 47.0%)로 2005년 25.8%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이다[1]. 특히 식이보충제 복용경험률은 학령 전 아동(3-5세, 58.4%)과 중장년층(50-64세 53.2%)에서 높았으며, 나머지 연령 또한 30-40%가 최근 1년간 식이보충제를 2주 이상 복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식이보충제를 복용하는 사람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이보충제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가 구축되지 않아 그동안 우리나라 국민의 식이보충제로부터 섭취하는 영양소섭취 현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였다.

식이보충제는 식품과 비교해서 특정 미량 영양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특히 미량 영양소 섭취에는 상당부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품으로 섭취되는 비타민 A 섭취가 부족할 경우 보충제를 간단히 섭취함으로써 도움이 될 수 있는 반면, 과량을 복용할 경우 과잉 섭취로 인한 부작용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2]. 따라서 식이보충제로부터의 영양소 섭취량 파악은 영양정책 수립이나 영양섭취 관련 연구에 매우 중요하다. 이미 미국, 영국, 일본 등의 국가에서는 식품과 식이보충제로부터의 영양소 섭취량을 국가영양조사에서 산출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 및 보건정책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고 있다[3-5]. 이에 질병관리본부는 우리나라 국민의 식이보충제를 통한 영양소 섭취현황 파악을 위해 2013년 정책연구용역사업[6]을 통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2010)와 2차년도(2011)에 조사된 식이보충제의 영양성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 글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식이보충제 영양성분 DB 구축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산출한 우리 국민의 식이보충제로부터의 영양소섭취 현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II. 몸말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 2차년도(2010, 2011)에서 식이보충제의 섭취 정보는 식생활조사(최근 1년간 2주 이상 식이보충제 섭취 여부)와 식품섭취조사(조사 1일전 섭취한 식이보충제 정보)로 조사되는데, 식이보충제 영양성분 DB는 식품섭취조사에서 수집된 ‘조사 1일전 섭취한 식이보충제 정보’를 기반으로 구축되었다. 식품섭취조사에서는 식품섭취조사 1일전 섭취한 식품정보와 함께 섭취한 식이보충제명, 제조원 및 판매원, 섭취량 등의 식이보충제 섭취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식이보충제명과 제조원 및 판매원은 대상자가 용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 직접 용기를 보고 기입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