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GMO 이슈 리플릿 시리즈6 - GM감자
- 등록일2015-06-26
- 조회수6206
- 분류기술동향 > 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
자료발간일
2015-06-19
-
출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KBCH)
- 원문링크
-
키워드
#GM감자#GMO#이슈리플릿#유전자변형#아크릴아마이드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KBCH)
GMO 이슈 리플릿 시리즈6 - GM감자
감자는 세계에서 네 번째로 중요한 작물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고,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종자 기업에서는 옥수수와 콩과 같이 감자도 유전자변형하여 이용 효율을 증대시키고자 노력하였다.
1997년 몬산토를 시작으로 몇몇 GM감자 품종들이 개발되고, 상업화된 바 있지만 주 이용국의 규제 장벽 및 이용율 저조로 인해 상업화가 철회되었다.
이후 거의 10년 만에 새로운 GM감자 품종이 승인되었다. 2014년 11월, 미 농무부 동식물검역원(USDA APHIS)는 Simplot社에서 개발한 GM감자인 INNATE의 상업화를 승인했다. FDA도 잇달아 해당 GM감자가 일반 감자와 비교해 안전하다고 판단, 식용으로써 GM감자 이용을 승인했다.
Simplot社는 수확, 운반, 유통체계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감자의 손상을 줄여주고, 높은 온도에서 조리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아크릴아마이드(잠재적 발암물질)의 생성을 줄일 수 있도록 감자를 유전자변형하였다.
GM감자 승인에 대한 환경단체 및 업계(특히, 패스트푸드업계)의 반응이 부정적이지만, 감자를 직접 이용하는 다양한 소비자에게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특성으로 인해 이전에 개발되었던 GM감자들과 이용 면에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미국에서의 GM감자 승인이 감자 소비국인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GMO 이슈 리플릿 시리즈6 GM감자를 통해 다양한 GM감자의 개발 이야기와 새롭게 승인된 INNATE GM감자의 전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생물학관련 분야별 상위 5% 저널 - 2014 IF 기준
-
다음글
- Whole-Genome and Whole-Population 분석을 이용한 진화 공학의 합성생물학적 적용 및 연구 동향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