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제2형 당뇨 치료제 표적으로써 cannabinoid 1 receptor 활성 조절 연구
- 등록일2015-06-29
- 조회수6679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5-06-18
-
출처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당뇨#제2형 당뇨#cannabinoid 1 receptor#당뇨병#인슐린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제2형 당뇨 치료제 표적으로써 cannabinoid 1 receptor 활성 조절 연구
김 욱 (아주대학교 응용화학생명공학과/분자과학기술학과)
서 론
최근 인간 평균 수명의 증가에 따른 고령화 사회의 진행 으로 제2형 당뇨를 포함한 노인성 질환이 급격하게 증가하 고 있으며, 이러한 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 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제2형 당뇨는 체내 포도당 대사 및 항상성의 비정상적 조절에 의해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 게 유지되는 만성 염증성 대사질환이다.
인슐린에 대한 인 슐린 민감조직 (간, 근육, 지방조직)의 반응이 저하되는 인 슐린 저항성과 인슐린을 합성하는 췌장 베타세포의 기능 장애로 인한 인슐린 합성 및 분비 저하가 제2형 당뇨의 주 요 원인이다 [1]. 이러한 인슐린 저항성과 췌장 베타세포 의 기능장애를 야기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glucotoxicity, lipotoxicity, oxidative stress,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등이 잘 알려져 있으며, endocannabinoids 와 수용체인 cannabinoid 1 receptor (CB1R)에 의한 인 슐린 저항성 및 베타세포 기능장애 유발에 대한 많은 연구 가 진행되어 왔다 [reviewed in ref. 1]. 또한 이러한 요인 들로 인한 만성 염증반응의 유발이 인슐린 저항성 및 베타 세포 기능장애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1].
많은 연구를 통해 제2형 당뇨에서 만성 염증반응을 억제 할 수 있는 다양한 표적 및 방법들이 발견되어 왔고, 최근 endocannabinoids의 수용체인 CB1R 활성 저해제에 의한 NLRP3 inflammasome 활성 및 만성 염증반응 억제, 이 를 통한 제2형 당뇨 개선 가능성이 보고 되었다. 오래 전부 터 다양한 CB1R 저해제가 비만치료제 및 당뇨치료제로 개 발돼 왔으나 뇌에 작용하여 심각한 부작용을 발생시키기 때 문에 미국 FDA에서 승인을 받지 못했거나 임상시험을 통과 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CB1R 저해제의 부작용을 제거하여 이상적인 당뇨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 어 왔고, 본 리뷰에서는 제2형 당뇨에서 CB1R 저해제 효과 와 CB1R 저해제의 부작용을 제거하기 위한 최근 연구동향 을 소개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