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국내외 주요 기관별 생명연구자원(실물) 등록현황

  • 등록일2015-08-24
  • 조회수5727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15-08-18
  • 출처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KOBIC)
  • 원문링크
  • 키워드
    #생명연구자원(실물)#생명연구자원#생명연구#연구자원#등록현황
  • 첨부파일

 

출처 :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KOBIC)

 

국내외 주요 기관별 생명연구자원(실물) 등록현황

 


□ 목적


○ 국내외 생명연구자원(실물)의 등록(활용) 현황 비교
- NCBI Taxonomy DB를 통해 연구자들이 국내외 주요 자원관리기관으로부터 생명연구자원을 분양받아 연구에 활용한 생명연구자원(실물) 분석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는 전세계 염기서열 정보의 저장소 역할을 기반으로 정보의 관리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Taxonomy DB는 서열 정보 생산에 사용한 생명연구자원(실물) 정보를 기초로 구축됨 ※ 정보의 등록은 실물관리기관으로부터 자원을 분양받은 연구자들이 연구결과를 등록한 것으로 분양을 담당하는 실물기관의 활동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으나 Taxonomy DB 등록현황은 연구자들이 생명연구자원(실물)을 분양받아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 지를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으로써의 가치는 있음 (단, 동일자원에 대해 활용결과는 Taxonomy DB에서 중복이 제거된 수치임)


 개요 및 조사방법


○ 개요
- 현대 생명연구, 신종 발굴에서 신약개발까지 거의 대부분 연구에 염기서열정보 생산 및 활용
- 염기서열 정보는 NIH>NLM>NCBI에서 운영하는 NCBI GenBank에 등록해야 논문발표, 특허 등 연구성과를 발표할 수 있으며, 등록 시 염기서열정보 생산에 사용한 생명연구자원(실물)을 등록하게 되어 있음
- 등록된 생명연구자원(실물) 정보를 바탕으로 Taxonomy DB가 구축되었고 전문 분류학자들에 의해 검증과정을 거친 후 웹에 공개되며, 기타 NCBI에서 운영하는 전문 DB에도 생명연구자원(실물) 정보가 연계되어 있음
- 공개된 NCBI DB를 활용해 국내외 생명자원(생명연구자원(실물))의 현황을 분석하는데 활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