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면역시스템에서 miRNAs 조절기작연구

  • 등록일2015-09-01
  • 조회수5463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5-08-18
  • 출처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면역시스템#miRNAs#항상성유지#외부항원#?miRNA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면역시스템에서 miRNAs 조절기작연구


강승구 (강원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시스템 면역과학과)


서 론

다양한 외부 환경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적절히 반응하며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은 모든 생명체의 기본원리로서, 생물학에서 이러한 항상성유지 기작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면역시스템은 병원체를 포함한 끊임없는 내 외부항원 자극을 적절히 감지하고 처리하여 항상성을 유지해야하며, 항상성유지 실패시 감염, 자가면역, 암 등 다양한 면역관련 질병을 유발한다. 따라서 면역시스템 항상성을 조절하는 인자를 발굴하고 그 기능 및 기작을 연구하는 것은 면역시스템을 이해하고, 더불어 질병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 중요한 연구분야 중 하나다.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선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22 nucleotides 길이의 small RNA(micro RNA 혹은miRNA) 발견은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세포내 항상성 조절 인자로서의 가능성으로 인해 면역학자들의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miRNA의 seed sequence와 표적 유전자의 mRNA 3’UTR간의 상보적결합은 mRNA의 degradation을 촉진시키거나 translation rate을 억제함으로써 표적 유전자의 단백질 발현 양을 음성적으로 조절한다


(repression). 하지만 그 발현 양 변화는 대개 1.5~3 fold를 넘지 않으며, 세포 안에서 한 종류의 miRNA는 동시에 100~200여개의 다양한 종류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 할 수 있다[1]. 면역시스템에서의 miRNAs의 존재 및 기능 그리고 그 중요성은 miRNA profiling과 mouse genetics를 통한 miRNAs gain-of-function 및 loss-of-function 방법을 통해 상대적으로 명확히 규명되고 있다. 최신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체액성 면역에서 miRNAs의 역할을 살펴보고, miRNA의 조절 기작 연구에 있어 문제점과 그 해결을 위한 최신 연구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