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돌연한 심정지 후 응급처치로써의 두가지 심폐소생술의 비교
- 등록일2015-12-04
- 조회수5991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5-11-09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심폐소생술#응급처치#심정지#흉부압박#호흡공급
- 첨부파일
돌연한 심정지 후 응급처치로써의 두가지 심폐소생술의 비교
□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온라인으로 게재된 연구에서 돌연한 심정지 이후 흉부압박과 함께 중간에 호흡을 공급한 심폐소생술이 지속적인 흉부압박을 시행한 것에 비하여 생존시간을 증가시키고 병원입원 기간을 감소시킴을 보고
ㅇ 압박 사이의 호흡을 주는 경우 심정지에 따른 입원 기간을 30일 이내에서 감소
ㅇ 두 가지 방법 모두 입원기록에 따르면 전반적인 생존에는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이번 연구에서는 보고
?표준 심폐소생술(압박 후 호흡을 위한 정지) : 30번 흉부압박 후 정지한 다음 2번의 호흡을 가하는 방식
?지속적인 흉부압박 : 분당 100회의 압박과 동시에 분당 10회의 호흡 공급
? 두 경우 모두 응급 의학 처치 공급자들은 bag과 마스크를 이용하여 호흡을 공급
□ 이번 연구는 소방관과 긴급의료원들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평가로 현재까지 가장 대규모로 이루어졌으며 응급치료 시 심폐소생술 내 호흡 공급의 중요성을 제안한다고 연구진은 언급
ㅇ 국립 심장, 폐 및 혈액 연구소(NHLBI,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의 부분적으로 지원
ㅇ Orlando에서 개최된 미국 심장 협회 2015년 과학 세션에서 발표
□ 이번 연구보고의 주저자인 Graham Nichol 박사*는 두가지 심폐소생술 모두 좋은 결과를 얻었지만 흉부압박 간 호흡을 위해 정지하는 쪽이 조금 더 좋은 결과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
* 시애틀에 위치한 Washington 대학 Harborview 응급센터의 책임자
ㅇ 현재의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은 응급치료자에 의한 지속적인 흉부압박이나 흉부압박 간 정지 후 호흡공급 두가지를 모두 허용
□ 돌연한 심정지 또는 심장의 기기적 활동의 손실은 심장마비에 의해 발생
ㅇ 미국 심장 협회에 따르면 매년 30만명 이상이 병원 외, 거의 대부분 집에서 심정지를 일으켜 치료를 받는 것으로 보고
ㅇ 연구들에 따르면 병원 외에서 심정지를 겪은 사람의 오직 10%만이 생존
ㅇ 그러나 심폐소생술에 의한 효과적인 처치는 희생자의 생존확률을 급격히 향상
□ 응급치료 시에 수행되는 표준 심폐소생술에는 흉부압박과 함께 bag과 mask를 이용한 호흡공급을 포함
ㅇ 최근 동물모델에서의 연구결과들은 지속적인 흉부압박(CCC, continuous chest compressions)도 표준 심폐소생술만큼 유용하다고 제안
ㅇ 현재까지 소방관들이나 긴급의료원들에게는 어떤 치료방법이 최적인지에 대한 명확한 증거에 기초한 가이드라인이 제공되지 않아서 그 결과, 처치법이 지역사회마다 종종 차이를 보임
ㅇ 연구진들은 처치에서의 이런 차이점들은 곧 과거의 것이 될 수 있다고 언급
□ 국제적인 다 기관 참여 연구에서 2011년 6월부터 2015년 5월 동안 114개 기관에서 처치를 받은 심정지 환자 23,709명의 생존 비율을 비교
ㅇ 대략 절반은 지속적인 흉부압박 및 동시 호흡공급을 받았으며 나머지 절반은 호흡공급 시 흉부압박을 멈추는 표준 심폐소생술을 받았음
ㅇ 이 연구는 미국과 캐나다의 의료기관들을 포함한 심폐소생술 결과 컨소시엄(ROC, Resuscitation Outcomes Consortium)에 의해 수행. ROC 참여기관의 목록은 다음의 웹싸이트를 참조(https://roc.uwctc.org/tiki/participating-sites)
□ 전체적으로 생존부터 퇴원까지는 지속적인 흉부압박군과 표준 심폐소생술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음
ㅇ 전체적으로 8.9% 약 1,126명의 환자가 지속적인 흉부압박군에서는 생존 후 퇴원까지 가능했던 반면 표준 심폐소생술군에서는 9.7% 약 1,073명의 환자가 퇴원이 가능
ㅇ 환자들 중 일상적인 생활을 수행할 수 있거나 보행의 보조 없이 걸으면서 일부 도움을 필요한 환자의 비율도 두가지 그룹에서 유사
□ 그럼에도 불구하고 표준 심폐소생술군에서 심정지 후 최초 30일 기간 동안 상당한 수준의 생존기간 증가와 퇴원을 보여 주었음
ㅇ 연구진들은 흉부압박 후 호흡공급을 위한 압박 정지의 이점은 향상된 혈류와 산소공급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
ㅇ 그들은 연구결과에 대한 추가적인 통찰을 얻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할 예정
□ Nichol 박사는 이번 연구는 병원 외 심정지에 대하여 처치를 받은 환자들 사이에서 병원입원 후 결과의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는 최초의 무작위 시행 결과라고 언급
ㅇ 향후 이러한 문제에 대해 개선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이번 연구가 이런 방향으로 가는 중요한 단계라고 믿는다고 강조
□ 이번 연구에 대한 연구비 지원은 국립 심장, 폐 및 혈액 연구소가 미 육군 의학 연구 및 재료 사령부, 캐나다 의학 연구소, 캐나다 심장 및 스트로크 재단 및 미국 심장 협회와 함께 제공
ㅇ 국립 심장, 폐 및 혈액 연구소(NHLBI,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는 심장, 혈관, 폐, 혈액 질환 및 수면 장애의 원인, 예방, 진단 및 처치와 관련된 연구를 기획, 수행 및 지원
- 여성 및 심장 질환, 아동의 건강한 체중 및 기타 주제에 대한 국가적인 건강 교육 캠페인을 수행
- NHLBI의 보도자료 및 기타자료들은 http://www.nhlbi.nih.gov에서 온라인으로 제공 중
ㅇ 미 국립보건원에 대하여 : 미 국립보건원은 국가에서 설립한 의료 연구기관으로 27개 연구소와 센터로 구성. 기초, 임상 및 중개 의료 연구를 지원하는 주요 연방기관이며 질환들의 원인, 대처 및 치료를 연구하고 있음. 보다 많은 정보가 필요한 경우 www.nih.gov를 방문하기 바람
* 출처 : 보도자료(2015년 11월 9일)
(http://www.nih.gov/news-events/news-releases/large-study-reports-results-comparing-two-cpr-methods-used-ems-providers-following-sudden-cardiac-arrest)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