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Nature 부록에 소개된 전 세계 뇌 질환 연구 의제
- 등록일2015-12-10
- 조회수6933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5-11-18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뇌 질환#Nature#신경시스템#뇌#유전체학
- 첨부파일
Nature 부록에 소개된 전 세계 뇌 질환 연구 의제

【그림 설명】인생에 걸친 뇌 질환 : 전세계에 걸친 신경 시스템 건강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라는 제목의 Nature지 부록 표지
□ 뇌 및 신경시스템 질환의 폭과 복잡도*는 특히 제한된 자원을 보유한 개발도상국에서 진단과 치료를 저해
* 유아들은 난산으로 인해 산소가 결핍되고 어린이들의 인지기능은 영양실조 또는 감염이나 독소에의 노출로 인해 영구적으로 손상을 받음. 어른들은 심각한 우울증이나 치매로 고통을 받음
ㅇ 미 국립보건원이 이끈 공동연구에서 생애주기에 걸쳐 발생하는 이들 복잡한 문제를 다루었으며 관련 연구 전략을 Nature지 부록에 오늘 제시
□ 펜실베니아대학의 Donald Silberberg 박사와 뉴캐슬 대학의 Rajesh Kalaria 박사가 작성한 도입글에 따르면 전세계 뇌 질환과 관련하여 연구는 티핑포인트에 위치
ㅇ 지난 수십 년에 걸쳐 흥미로운 기초 과학 발견들이 이루어졌으며 효과적인 치료법이 개발되어 왔고 기술의 진보는 이 분야에서 전례가 없는 진전을 이끌어 낼 연구 의제의 기초를 마련하였다고 언급
□ 40명이 넘는 과학자들이 함께 중저소득 국가들에서의 뇌 질환들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연구 우선순위를 기술한 9편의 리뷰 논문을 작성?발표
ㅇ 공저자들은 가장 전략적인 기회는 뇌 질환에 관한 환경, 발생생물학적 및 유전적 요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다학제적 연구에 있다고 주목
ㅇ 유전체학의 발전은 남용과 중독 소인들을 포함한 정신질환의 새로운 실마리를 제공하며 진단을 개선하고 맞춤형 치료를 개발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전망
ㅇ 진단기술 소형화와 다른 이동형 의료의 진전들은 휴대전화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중저소득 국가에서 정신 및 신경시스템 질환의 감시, 평가 및 치료를 개선할 것으로 예상
□ 감염과 연관된 신경시스템 이환율을 다루기 위해서, 과학자들은 질병부담에 대한 정확한 추산, 감염 진단을 위한 현장진단 시험법 개발, 인지 및 정신 질환에 대한 평가도구 개선, 감염 예방과 치료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해야 함
ㅇ 또한 저자들은 중저소득 국가 사람들이 광업이나 기타 산업에 필요한 규제가 없어 독소들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환경적 변화에 따른 뇌의 반응들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를 진전시킬 수 있는 기회들이 있음을 주목
ㅇ 저자들은 또한 아동기, 사춘기, 성인 및 노년기에서의 특징적인 환경과 위험요소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중저소득 국가에서 생애주기에 걸쳐 수행되는 장기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
ㅇ 뇌 질환에 있어서 지역별 차이는 국가별, 국가 내 지역별로 연구의 우선순위가 설정되어야 함을 의미
- 이들 질문들이 상황에 적합한 해결책을 찾아낼 수 있는 현지 과학자들에 의해서 가장 잘 해결될 수 있도록 이러한 많은 연구 격차를 해소하고 지역 과학 역량이 개발되어야만 함

【그림 설명】도표는 고소득 국가와 중저소득 국가 간의 장애 관련 생애 연도를 비교. 데이터는 세계보건기구와 Global Burden of Disease 2010 연구로부터 유래
□ 질환의 전지구 부담의 1/3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자들에 따르면 뇌와 신경 시스템 질환은 전지구 의료 의제에서는 제외되어 왔음
ㅇ 나이가 들어가면서 이들 질환은 질환과 장애에서 차지하는 부분이 증가
ㅇ 연구의 공저자들은 조기 외상, 감염성 질환 및 영양실조가 이들 질환의 발전에 기여하는 중저소득 국가에서 이러한 증가는 급격한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
ㅇ 개발도상국은 이러한 문제를 많이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다룰 수 있는 자원을 보유하고 있지 않음
ㅇ 공저자들이 관찰해 본 결과 이러한 부담은 어린이와 사춘기 청소년들의 성장과 그들의 잠재력을 실행하는 능력과 젊은 성인들이 그들의 가족들을 지원하고 경제적으로 생산적이 되는 능력뿐만 아니라 노인들이 안전하고 보살핌을 받을 수 있는 기회에 심각하게 영향을 끼쳤음
ㅇ 지난 9월에 유엔에서 발표한 새로운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들에 포함된 우선순위들 중에서 정신 건강, 약물 남용 및 화학물질 노출에 관한 경향은 부록의 저자들이 인정하듯이 변화하고 있음
□ 미 국립보건원의 Fogarty 국제센터의 전세계 보건 연구 센터에 의해서 이끈 프로젝트는 2014년 2월에 개최된 연구비 수혜자들과 다른 과학분야 전문가들의 회의에서 시작
ㅇ 머리글을 쓴 Fogarty 책임자인 Roger I. Glass 박사에 따르면 뇌 영상, 나노과학 및 유전학에서의 진전이 연구 발견에서 보다 많은 희망을 가지고 있지만 보다 많은 자원들이 필요
ㅇ 생애주기에 걸쳐서 발생하는 정신과 신경 질환으로 고통받는 전세계를 치유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 교육, 이행과 정책 문제의 전범위를 해결하고자 이 부록이 다른 과학자들과 연구비 지원기관들에게 영감을 부여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
ㅇ Nature 부록은 www.nature.com/brain-disorders에서 자유열람 가능
★ Fogarty 국제 센터는 전세계 건강 문제에 대해 혁신적이고 협력적인 연구와 연수프로그램을 통해서 해결하고 국제 협력을 통한 미 국립보건원의 미션 수행을 지원
- 보다 상세한 정보가 필요하면 www.fic.nih.gov를 방문
★ 미 국립보건원에 대하여 : 미 국립보건원은 국가에서 설립한 의료 연구기관으로 27개 연구소와 센터로 구성. 기초, 임상 및 중개 의료 연구를 지원하는 주요 연방기관이며 질환들의 원인, 대처 및 치료를 연구하고 있음. 보다 많은 정보가 필요한 경우 www.nih.gov를 방문하기 바람
* 출처 : 보도자료(2015년 11월 18일)
(http://www.nih.gov/news-events/news-releases/nih-led-effort-details-global-brain-disorders-research-agenda-nature-supplement)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
- 제도동향 지속가능한 혁신성장을 위한 NBI(Nature-based Innovation) 도입의 필요와 접근 방안 2024-03-27
- 제도동향 [제254호 과학기술&ICT동향] 일본, '바이오 제조' 추진의 핵심인 'Nature positive' 대응 2024-01-23
- 기술동향 Nature, Coronavirus variants: What you need to know 2021-04-19
- 기술동향 Nature Index 한국판, 코로나19 진단키트 만든 한국 연구역량을 집중 조명 2020-05-28
- 기술동향 코로나19에 관한 Nature 최신 뉴스 2020-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