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KEIT PD 이슈리포트 나노융합 [Nano Technology Convergence]
- 등록일2016-02-04
- 조회수6245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6-01-27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 원문링크
-
키워드
#나노융합#이슈리포트#연구개발#주요성과#추진계획
- 첨부파일
출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KEIT PD 이슈리포트 나노융합 [Nano Technology Convergence]
2015년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16년 추진계획
01?. 15년 연구분야 및 주요성과
■ 주요 연구개발 분야
● 나노기술은 혁신적 소재·부품, 시스템 제조 등 제조업에 기술혁신을 불러올 수 있으며 미래이슈 대응에 있어 핵심이 되는 기술임
● 주요 연구 분야로는 정보/전자, 에너지, 환경, 바이오 등 타 분야와 융합을 통해 新성장동력 및 新시장 창출을 위해 나노소재, 나노소자, 나노바이오, 나노에너지·환경, 나노공정·측정·장비, 나노안전성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R&D를 통한 신성장 제조업 역량 강화에 초점
- (나노소자) 고성능, 휴대성, 저전력소비, 고속 정보처리 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신소재/신구조 기반 미래 IT소자 구현
- (나노소재) 초경량/고강도/고특성 등 기존 소재 한계를 극복하는 나노소재 개발을 통해 정보/전자, 에너지, 의료/환경 등 타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성장견인 추진
- (나노바이오) 나노진단/나노치료제 등 인간중심의 기술개발을 통해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기술의 융복합과 시공간적 확대 추진
- (나노에너지·환경) 에너지변환/에너지저장기술 등 나노융합 에너지·환경기술의 혁신적 성능개선을 통한 지속가능한 고도화 사회 구현
- (나노공정·측정·장비) 나노박막/나노패터닝/측정분석 기술 등 창조적 나노공정·측정·장비기술 개발을 통해 신개념 나노장비시장 선점
- (나노안전성) 나노물질의 잠재적 위해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노출평가/평가기법/위해성 평가 등 인간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위해성을 저감할 수 있는 기술개발 추진
● 2015년도에 추진한 주요 연구개발 내용은 아래와 같음
① 나노소재를 적용한 고기능성 자동차 소재 개발
- 차량 전원용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 : 연비향상, Co2배출 절감 등 자동차 산업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고출력 및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하이브리드 슈터캐퍼시터 개발
* 에너지 밀도 30Wh/L 이상(세계 최고 수준 일본 JM Energy LIC, 25Wh/L)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