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장내 미생물과 그와 관련된 질환의 연구 동향

  • 등록일2016-03-07
  • 조회수7628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6-03-02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장내 미생물#미생물#장내 미생물 관련 질환#마이크로바이오타#차세대 염기 서열
  • 첨부파일

출처 :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장내 미생물과 그와 관련된 질환의 연구 동향

 

저자 : 김용규 (EMBL)

 

요약문
마이크로바이오타는 우리 몸에 거주하는 미생물을 총칭하는 용어로서, 체내 미생물의 엄청난 수와 다양성, 그리고 그들이 갖는 유전적 특성으로 인해 임상 연구에서 중요성과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차세대 염기 서열 기술의 발전 덕에 신체 다양한 부위의 마이크로바이오타 분석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인간의 장은 가장 많은 미생물을 보유하고 곳으로 미생물들은 장내에 단순히 거주하는 것을 넘어, 음식물의 소화에도 기여를 하고 우리 체내 조직과 직접 접촉하여 우리 몸을 보호하는 등 복잡한 생리 활동에 연관되어 있다. 그 결과, 장내 미생물의 불균형은 염증성 장 질환을 비롯하여 비만과 당뇨와 같은 대사성 질환, 대장암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마이크로바이오타를 이용한 다양한 질병의 치료와 진단법 개발이 활기차게 이루어지고 있다. 

 목차

1. 서론
2. 장내 미생물 구성
3. 장내 미생물 구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
  3.1 식단과 영양
  3.2 항미생물제
  3.3 점액질과 유착
  3.4 면역 제어
4. 장내 미생물과 연관된 질병
  4.1 과민성 대장 증후군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4.2. 염증성 장 질환 (inflammatory Bowel disease)
  4.3. 대장암(colorectal cancer)
  4.4. 비만 (obesity)
  4.5. 제 2형 당뇨 (type 2 diabetes)
5. 결론
6. 참고문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