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뇌수종(수두증)과 파킨슨병 연구의 발전 동향

  • 등록일2016-04-14
  • 조회수6367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6-04-14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뇌수종#수두증#파킨슨병#동물실험#새로운 치료 방법
  • 첨부파일

출처 :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뇌수종(수두증)과 파킨슨병 연구의 발전 동향

 

 

저자 : 심준완 (Bos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요약문

뇌수종(수두증 hydrocephalus)은 뇌에 물이 차는 증상으로 유아 및 성인의 신경외과 수술에 가장 빈번한 원인이다. 유전적 요인에 의해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날 수 있고, 총상이나 대형사고 이후 출혈 및 뇌손상의 부차적 결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신경외과의 대처방법은 튜브(shunt)를 삽입하여 물을 빼도록 한다. 여기서 물은 체액인데 척수를 흐르는 액(cerebrospinal fluid)과 경우에 따라 혈액이 혼재한다. 2015년 미국 시애틀 아동병원에 따르면 뇌수술로 삽입한 튜브(shunt)의 실패할 확률은 33% (3년내)이다. 수술 10번하면 3명 이상이 3년 안에 실패한다는 의미이다. 뇌수술로 머리부터 복강까지 이어지는 튜브 삽입을 하지 않고 약물로 치료해 보려는 시도가 있었다. 한편 파킨슨 병은 신경과학에서 가장 연구가 많이 된 질병 중 하나인 동시에 완치가 불가한 질환이다. 영화 배우 마이클 제이 폭스가 본인의 이름을 딴 연구재단을 설립한 후 다양한 실험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본 기고에서는 수술없이 뇌수종(수두증)을 의학적으로 관리(manage)해 보려는 시도들을 동물실험 위주로 과거의 예와 비교하였고, 지난 10여년간 수행되어 온 파킨슨 병의 기전 및 새로운 치료 방법에 관한 연구 중 비교적 많이 인용되어 주목을 끈 몇 가지 결과를 살펴본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뇌수종(수두증)
  2.2 파킨슨병
3. 결론
4. 참고문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