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폐렴을 일으키는 곰팡이 게놈 염기서열을 분석
- 등록일2016-04-21
- 조회수6121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6-04-11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곰팡이 게놈#염기서열 분석#폐렴#염기서열#폐포자충
- 첨부파일
미 국립보건원은 생명을 위협하는 폐렴을 일으키는
곰팡이 게놈 염기서열을 분석
“우리의 장기적인 목적은 인간 폐포자충 감염에 대하여 더 배우고 면역이 억제된 사람들에 대한 그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 국립보건원 임상센터 중환자치료 부문 후천성 면역결핍성 증후군 책임자 Joseph Kovacs 박사
□ 국립보건원 임상센터의 연구진들은 외부 기관들과의 협력 하에 사람, 생쥐 및 쥐의 폐포자충의 거의 전체 게놈에 대한 염기서열분석을 수행
ㅇ 이 생물체는 면역이 억제된 숙주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폐렴을 야기
ㅇ 폐포자충은 HIV/AIDS 대유행의 초기 인지로 이끄는 최초 감염들 중 하나
ㅇ 이는 지난 30 년간에 걸쳐 수천 명의 죽음에 책임이 있으며 HIV/AIDS 환자 집단뿐만 아니라 이식 수혜자 및 다른 면역억제 환자들에게서 중요한 위험으로 남아있음
ㅇ 이번 발견들은 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
ㅇ NIH 과학자들은 Broad 연구소 및 Leidos사의 연구자들과 협력
□ 게놈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연구자들은 이 생물체가 어디에서 사는지 그리고 어떻게 숙주의 면역시스템에 의한 제거를 회피하는 지에 대한 이해를 보다 확대
ㅇ 게놈에 대한 고품질 분석은 이 생물체의 성장 및 생존에 중요한 대사경로의 규명뿐만 아니라 다른 밀접하게 관련된 곰팡이에는 있지만 폐포자충에는 없는 많은 수의 경로들의 인지도 가능하게 허용
ㅇ 이들 경로들은 폐포자충이 그 포유류 숙주에서 생존하도록 진화함에 따라 소멸
□ 우리의 장기적인 목적은 인간 폐포자충 감염에 대하여 더 배우고 면역이 억제된 사람들에 대한 그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이며
ㅇ 이번 연구는 이 방향에서 중요한 발걸음이라고 책임 저자인 Joseph Kovacs 박사*는 언급
* 국립보건원 임상센터 중환자치료 부문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책임자
□ 국립보건원 임상센터 중환자치료 부문 스탭 과학자이자 이 논문의 제 1저자인 Liang Ma 박사는
ㅇ 게놈 정보의 확보가 폐포자충의 특이한 생물학과 그들이 어떻게 그들의 포유류 숙주와 공존하는지에 대해 인식하도록 도움을 주며
ㅇ 또한 연구자들이 지금까지 실험실 배양에서 재현가능하게 키우는 것이 왜 불가능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여 준다고 언급
□ 이번 연구는 지금까지의 어떠한 기존 연구들에 비하여 그들의 게놈에 대하여 보다 명확한 모습을 규명
ㅇ 연구진들의 노력은 염색체 초안에 가까운 고해상도 게놈을 생산하였으며 이는 게놈 매핑의 가장 높은 수준에 해당
ㅇ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유전자들에 대한 자세한 기술은 폐포자충 연구의 중요한 이정표인 이 생물체 배양을 위한 노력을 촉진
ㅇ 세포배양은 폐포자충 폐렴을 위한 새로운 치료법 규명을 촉진하기 위한 대규모 약물 스크리닝을 가능하게 하며
- 잠재적으로 개별 유전자들을 변형하고 이것이 생물체 성장 및 숙주에 대한 해로운 영향에 어떤 형향을 줄기 관찰할 수 있도록 유전자 조작을 가능하게 허용
★ 국립보건원 임상 센터
- 미 국립보건원을 위한 임상 연구 병원
- 임상연구를 통해 임상의-연구자들이 국가의 보건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험실의 발견들을 보다 나은 처치, 치료법 및 중재로 중개
- 보다 많은 정보를 원하면 http://clinicalcenter.nih.gov를 방문
★ 미 국립보건원에 대하여 : 미 국립보건원은 국가에서 설립한 의료 연구기관으로 27개 연구소와 센터로 구성
- 기초, 임상 및 중개 의료 연구를 지원하는 주요 연방기관이며 질환들의 원인, 대처 및 치료를 연구
- 보다 많은 정보가 필요한 경우 www.nih.gov 방문 요망
* 출처 : 보도자료(2016년 4월 11일)
(http://www.nih.gov/news-events/news-releases/nih-sequences-genome-fungus-causes-life-threatening-pneumonia)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