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국립보건원 연구에서 인플루엔자 백신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발견
- 등록일2016-04-27
- 조회수5747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6-04-19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인플루엔자 백신 유효성#NA 항체#인플루엔자 백신#인플루엔자#HA 항체
- 첨부파일
국립보건원 연구에서 인플루엔자 백신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발견
“...이번 새 연구는 어떻게 우리가 인플루엔자 백신이 공급하는 예방의 수준을 개선할지에 관한 흥미로운 실마리를 제공”
- NIAID 책임자 Anthony S. Fauci 박사
□ 새로운 연구는 계절적 인플루엔자 백신 유효성을 예측해 온 오랫동안 지속해 온 접근법을 다시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
ㅇ 현재 계절적 인플루엔자 백신은 바이러스가 인간 세포로 들어가서 감염을 시작하도록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표피 단백질인 hemagglutinin(HA)에 대한 예방적 항체를 높은 수준으로 유도하도록 설계
ㅇ 국립 알레르기 및 감염성 질환 연구소의 과학자들에 의해 수행된 새로운 연구에서 인플루엔자의 다른 표피 단백질인 neuraminidase(NA)에 대한 높은 수준의 항체가 인플루엔자 감염에 대한 예방 및 부작용에 대한 보다 나은 표지자임을 발견
ㅇ 현재 전형적인 인플루엔자 백신의 주요한 목표 항원이 아닌 Neuraminidase는 새롭게 생성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숙수세포를 탈출해서 인체 내의 추가적인 바이러스 복제를 일으키도록 함
□ 건강한 자원자들이 자진해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2009 H1N1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에 노출된 임상시험으로부터 얻어진 발견들은 개방형 학술지인 mBio에 오늘 온라인으로 게재
□ NIAID 책임자인 Anthony S. Fauci 박사는 매년 미국에서 3,000명에서 49,000명이 계절적 인플루엔자와 그 합병증의 결과로 사망한다고 언급
ㅇ 계절적 인플루엔자에 대한 연간 백신 접종이 감염에 대한 예방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이며 이번 새 연구는 어떻게 우리가 인플루엔자 백신이 공급하는 예방의 수준을 개선할지에 관한 흥미로운 실마리를 제공한다고 강조
□ 인체 내 높은 수준의 HA 항체는 오랫동안 인플루엔자 감염에 대한 보다 강한 예방과 관련되어왔음
ㅇ 그 결과, HA 항체 수준은 전통적으로 백신 주 선정을 이끄는데 사용되어 왔으며 현장 연구결과가 가용할 때까지 유행하는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추론하는데 이용되어 왔음
ㅇ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10년에 걸친 계절적 인플루엔자 백신 유효성의 변동들은 그들의 예방능력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NA 단백질에 대한 항체들과 같은 다른 요인들이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연간 인플루엔자 백신을 설계할 때 고려되어야 할지 여부 등에 대한 질문들을 야기
□ NIAID의 감염성 질환 실험실의 임상실험 부문 책임자이자 이번 연구의 주요 연구자인 Matthew J. Memoli 박사는 이번 연구의 숨은 아이디어는 인플루엔자 백신에 대한 인간의 면역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에 확립되어 있던 기준을 재평가하는 것이라고 언급
ㅇ 이번 연구를 통해서 전통적인 지혜를 시험하고 HA 항체 수준이 낮은 사람에 대비하여 높은 사람에서 경증에서 중간정도의 인플루엔자를 덜 발생할지를 관찰하고자 했다고 강조
□ 이를 위해 연구진은 18세에서 50세의 건강한 65명의 자원자들을 인체시험*에 등록
* 조심스럽게 통제된 조건 하에서 개인들을 질환을 일으키는 병원체에 노출시키는 종류의 연구
ㅇ 2013년 9월에 시작한 인플루엔자 인체시험은 메릴랜드주 베데스다 소재 국립보건원 임상센터에서 명백한 격리와 감염 제어 시설을 갖춘 특별히 설계된 임상연구 부문에서 수행되었음
□ Memoli 박사와 그의 동료들은 참가자들 혈액 내 존재하는 항 HA 및 항 NA 항체의 수준을 측정
ㅇ 이 결과들에 근거하여 자원자들을 2개의 집단으로 구분
1) 항 HA 항체가 높은 수준인 자원자들 (25명의 참가자들)
2) 항 HA 항체가 낮은 수준인 자원자들 (40명의 참가자들)
ㅇ 자원자들에게 그 이후에 2009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비강 내 용량(1밀리리터)만큼 투여
ㅇ 자원자들은 의료진에 의해 매일 24시간 모니터링 되는 연구부문에 9일간 머물렀음
ㅇ 9일간의 검사 기간 이후, 2일간의 인플루엔자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은 이후 퇴원
ㅇ 그 이후, 자원자들은 8주에 걸쳐서 연구진들을 4번 추적 방문
□ 예상하던 대로, 연구진들은 시험 등록 시에 높은 수준의 항 HA 항체를 가진 참가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아진 경증-중간 정도 인플루엔자 질환 발생률과 낮은 HA 항체 수준을 가진 참가자들에 비해 감소한 지속기간을 경험
ㅇ 그럼에도 불구하고 NIAID 연구진들은 이들 참가자들이 낮은 수준의 HA 항체를 지닌 참가자들처럼 일부 인플루엔자 증상들을 같은 수준으로 경험함도 발견
ㅇ 만약 이런 결과들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인플루엔자 감염과 일치한다면 이는 높은 HA 항체 수준이 바이러스 전파를 제한하고 그 결과 사람에서 사람으로의 바이러스 확산을 제한하는 반면 높은 HA 항체 수준이 인플루엔자 증상의 발현을 예방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제안
ㅇ 이는 왜 계절적 인플루엔자 백신을 접종받은 일부 사람들이 인플루엔자 증상들을 그럼에도 보고하는지를 설명하는 것을 도울 수 있음
□ 놀랍게도 연구진들은 높은 수준의 NA 항체를 지닌 참가자들이 높은 수준의 HA 항체를 지닌 참가자들에 비하여 백신의 보다 강한 예방 효과를 경험하였음을 발견
ㅇ 명확하게 NIAID 연구진들은 높은 수준의 NA 항체를 지닌 사람들이 높은 수준의 HA 항체를 지닌 사람들에 비하여 2009 H1N1 바이러스가 투여되었을 때 심각한 질환을 덜 경험하였으며 바이러스 전파 및 증상의 경과기간이 감소하였고 심각한 증상들의 수와 정도가 감소하였음을 발견
ㅇ HA와 NA 항체 수준은 함께 고려되었을 때 하나씩으로 사용되었을 때 비해 경증-중간 정도의 인플루엔자 질환이 발생할지 여부 및 그 증상들의 심각도에 대한 보다 나은 표지자이나 이번 연구결과 NA 항체가 질환의 심각성을 결정하는 보다 강한 요소라고 저자들은 결론
□ 이번 발견들에 근거하여, 저자들은 인플루엔자 감수성을 연구할 때 NA 면역성의 역할을 고려해야만 하며 향후 인플루엔자 백신 설계 시에 NA 항원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
□ 인플루엔자 인체시험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는 ClinicalTrials.gov에서 NCT01971255를 이용하여 확보가능
ㅇ 이 연구는 미국 보건성의 Biomedical Advanced Research and Development Authority를 통해 추가적인 연구비 지원을 받음
★ 국립 알레르기 및 감염성 질환 연구소
- 미국과 전세계에 걸쳐 감염성 및 면역 관련 질환의 원인을 연구하고 이들 질환을 예방, 진단 및 치료하기 위한 보다 나은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고 지원
- 뉴스 등 NIAID 관련 자료는 웹싸이트에서 찾을 수 있음
★ 미 국립보건원에 대하여 : 미 국립보건원은 국가에서 설립한 의료 연구기관으로 27개 연구소와 센터로 구성
- 기초, 임상 및 중개 의료 연구를 지원하는 주요 연방기관이며 질환들의 원인, 대처 및 치료를 연구
- 보다 많은 정보가 필요한 경우 www.nih.gov 방문 요망
* 출처 : 보도자료(2016년 4월 19일)
(https://www.nih.gov/news-events/news-releases/nih-study-finds-factors-may-influence-influenza-vaccine-effectiveness)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나노바이오센서 시장 및 기술 동향
-
다음글
- DNA 손상과 복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