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시상하부 복내측핵을 통한 에너지대사 조절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

  • 등록일2016-06-28
  • 조회수5656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6-06-24
  • 출처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에너지대사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시상하부 복내측핵을 통한 에너지대사 조절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

 

 

저자 : 김기우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약리학 교실)

 

서론


우리나라의 경우 근래의 혼재된 식습관과 운동부족 및 고령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비만/당뇨를 포함한 대사성 증후군을 가진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국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3년 한국 당뇨병 환자수는 약 332만명으로 세계 20위정도로 당뇨병 환자수가 많으며, 체질량 지수 25% 이상인 성인 비만율이 2010년 31.4%를 넘어선 것으로 보고되었다. 대사성 질환의 원인과 발병에 중요한 인자의 동정과 그 기전에 관한 연구는 대사성 환자의 급속한 증가 추세에 있는 현 우리 사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 몸의 대사조절의 중추라 할 수 있는 시상하부(hypothalamus)는 간뇌(diencephalon)에 위치하며, 에너지 저장과 소모를 포함한 다양한 신진대사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내장(gut) 및 지방세포에서 분비하는 여러 가지 호르몬들을 탐지하여 우리 몸의 에너지 대사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시상하부는 무수한 뉴런과 신경섬유가 얽혀 있으며, 뚜렷한 신경 집단을 가진 많은 신경핵(hypothalamic nucleus)으로 이뤄져 있다. 즉 중저기저 시상하부는 복내측핵(ventromedial hypothalamus; VMH)을 포함하여 외측시상하부(lateral hypothalamus; LH), 배내측 시상하부(dorsomedial hypothalamic nucleus:DMH), 궁상핵(arcuate nucleus; ARC) 등 여러 신경핵(hypothalamic nuclei)들로 이뤄져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