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질병치료를 위한 대체요법에서의 분화된 다능성줄기세포의 이용
- 등록일2016-07-20
- 조회수6646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6-07-19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다능성줄기세포
- 첨부파일
출처 :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질병치료를 위한 대체요법에서의 분화된 다능성줄기세포의 이용
저자 : 유지나 (서울대학교)
요약문
다능성줄기세포(pluripotent stem cells; PSCs)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많은 질병 치료의 재료로 이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다능성줄기세포를 특정 세포로 정밀하게 분화 시킬 수 있다는 것은 혈액 성분과 조혈모세포 치료에 아주 큰 영향을 줄 것이다. 또한 이는 당뇨, 간질환, 신경성 장애, 안구질환, 더 나아가서 심장질환의 치료에 까지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특정 세포가 지속적으로 공급된다고 하더라도 아직은 극복해야 할 다른 장애물들이 있다. 세포 치료에 대한 이번 리뷰에서는 이러한 도전적인 부분들에 대하여 강조하며 설명하였다. 성공적인 세포이식(cell transplantation)은 가장 적합한 세포를 고르는 것과 이를 생체 내 올바른 위치에 자리를 잡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생체 내에서 세포의 이동과 조직 결합(tissue integration)의 한계가 극복되어야 하며, 또한 이러한 문제들과 함께 면역반응의 문제도 해결되어야 한다. 연구자와 임상의 그리고 산업체 간의 공동연구는 줄기세포 기반의 새로운 치료제를 만드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자료는 Use of differentiated pluripotent stem cells in replacement therapy for treating disease. Science, 2014; 345(6199): 247391 의 논문을 한글로 번역, 요약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조혈모세포 기반의 치료
3. 질병에 따른 세포 치료의 예시
3.1 당뇨병
3.2 간질환
3.3 신경성장애와 안구 질환
3.4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ies)
3.5 심장질환
4. 결론
1. 서론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는 다능성 전사인자들에 의한 체세포의 리프로그래밍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러한 세포들은 자기자신의 복제가 무한대로 되며 여러 세포의 계통으로 분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기술은 각각의 환자로부터 세포를 얻어 다능성줄기세포를 만들고 이를 특정 세포나 조직으로 분화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환자에게 이식한 후에도 면역거부반응이 없어 앞으로 세포 기반 치료가 발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