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Citrix 2020 기술 동향 예측 보고서

  • 등록일2016-08-03
  • 조회수5524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6-05-13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 산업
  • 첨부파일

출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Citrix 2020 기술 동향 예측 보고서

 

 

[목차]
주요내용 요약

I. 동향분석 (Trend Update)

II. 업무환경의 변화 (Work Transformed)

III. 혁신 (Innovation Special Feature)

IV.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Ⅴ. 금융 및 소매유통업 (Financial and Retail)

VI. 교육 (Education)

VII. 의료 산업 (Healthcare of Things)

 


주요내용


□ 동향분석최근 컴퓨터 구조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흔히 사용해왔던 마이크나 카메라를 5년 안에 공간 정보를 동반한 지향성 마이크나 깊이 카메라가 대체할 것임. 스마트 TV가 기존 TV들을 모두 대체 할 것이고 컴퓨터의 감지 기능 향상으로 기존의 데이터 입력방식을 모두 자동화 될 것임. 하이브리드 인공지능이나 로봇기술을 바탕으로 높은 생산성을 추구 할 수 있음. 특화된 인공지능과 전문가는 서로를 상호 보완하여 업무의 능률을 극대화 할 것임. 딥 러닝의 활용으로 음성인식 및 안면인식 기술이 점차 견고해지면서 기계가 인간을 넘어서는 분야가 점차 늘어날 것임. 가상현실과 실제상황의 인터페이스를 더 자연스럽게 만들기 위해 Magic Leap 이나 Microsoft HoloLens 같은 회사들이 공간 메모리 기술 향상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향후 5년간 가장 각광받을 로봇기술은 무인 자동차 기술이 될 것으로 예상 됨. 무인 자동차 기술은 대중 및 개인 교통, 배달, 안전, 주차, 교통량, 차량 이용률 등 많은 부분에서 큰 변화를 가져올 것임. 로봇들은 이미 판매, 재고정리, 청소, 보안, 제조, 농업, 의료, 가사노동 등의 분야에서 발전을 이루어 내고 있음.

 

□ 업무환경의 변화정보산업의 발전으로 업무환경의 변화가 계속 일어나고 있음. 근로자는 업무를 위해 더 이상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프리랜서 형태의 업무, 재택근무, 생산성 향상, 업무의 자동화를 성취 할 수 있음. 고용주는 IT 기술 기반의 업무환경 변화를 통해 직원들을 고객이나 파트너 회사에 파견 하면서도 업무의 흐름을 잃지 않을 수 있고 재택근무나 출장 중에도 업무 효율을 꾸준히 유지 할 수 있음.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사무실을 협업을 위한 공간으로 재단장 하고 필요 없는 이메일 및 회의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함. 업무의 정량화를 통해 생산성을 최적화 할 수 있음. 개인 업무와 협업의 균형 그리고 업무와 개인의 삶의 균형을 찾기 위해 인간과 인공지능이 결합된 형태인 복합형 인공지능이 사용 될 것임.기술 발달이 가져온 변화는 삶의 질과 업무 생산성을 지속적으로 높일 것임. 향후 5년간, 이런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개인과 회사는 다음과 같은 자세가 필요함.

 

o 개인 - 새로운 기술들을 빠르게 습득하고 업무량을 정량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것. 일과 삶의 균형을 재단하여 생산성을 향상 할 것. 업무에 인공지능과 로봇을 이용 할 수 있도록 컴퓨터 기술을 배우고 준비 할 것.

 

o 회사 - 업무공간을 유연하게 확보하고 업무와 작업에 따라 변화 할 수 있게 대처할 것.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로봇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얻을 것. 사업성을 추구하는 만큼 끊임없이 혁신을 추구할 것.

 

□ 혁신올해 기술 동향 예측 보고서의 핵심 화두는 미래 창조이며 여러 가지 핵심 기술들을 이 챕터에서 다루었음. 스타트업의 성공을 위해 PayPal, Apple, Google, DARPA, P&G와 같은 기업들의 특징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음. 유니콘, 달 탐사, 그리고 기상천외한 시도들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고 혁신동력을 통해 이를 가능하게 함. 큰 기업도 사내 벤처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가장 알맞은 모델로 신규 사업에 진출하고 있음.

 

□ 사물인터넷실질적으로 모든 분야에서 인터넷과 오프라인 개체가 결합되어 온라인으로 옮겨지는 인터넷의 사물화가 일어나고 있음.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스마트 기기들은 현재 49억에서 2020년엔 250억 개로 늘어날 것이고 어떠한 컴퓨팅 기기들 보다 많은 데이터, 트래픽, 클라우드 사용량을 기록 할 것임. 사물인터넷은 생산성, 효율성, 자동화율의 향상을 실생활에 가져다 줄 것임. 센서 운용을 통한 실시간 데이터 모집은 IT 분야와 거리가 있는 농업, 건설, 도시 인프라 등의 분야에서도 사물인터넷을 통한 혁신을 기대 할 수 있게 함.

 

□ 금융 및 소매업국제 소매유통업 규모는 2018년 28조 달러를 기록 할 것으로 예상됨. 60억 인구가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고 지금도 현금을 이용하지 않는 비현금 지불 수단에 대한 수요가 상당히 큼. 선진국에서는 아직도 현금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오히려 금융 인프라가 발달하지 못한 개발도상국에서 비현금 지불 수단이 활발히 이용되는 사례가 있음. 비현금 지불 수단은 성장가능성이 높은 사업 분야로 떠오르고 있고 스마트 기기나 웨어러블 기기들과 함께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임.

 

□ 교육교육은 기술 발달의 혜택을 입고 변화하는 대표적인 분야임. 수년간, 교육 체계는 산업의 기반이 되는 지식인을 양성하는데 초점을 뒀음. 새로운 교육은 개인의 특성과 성향에 맞게 특화된 교육 환경을 제공함. 배움은 더 이상 정형화 된 학위나 트레이닝 과정에 국한되지 않음.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배우는 이의 상황에 맞는 정보와 지식을 제공함.

 

□ 의료 산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의 도입으로 건강 검진 체계에 대한 환자, 보호자, 의료인의 입장과 책임이 달라지고 있음. 웨어러블 기기들로 지속적으로 개인 건강과 관련된 정보들을 센서를 통해 수집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음. 그로 인해 정기 검진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됨. 수집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통해 질병의 발달 및 치료에 대한 연구 성과도 기대되고 있음. 하지만, 보수적인 시각을 가진 관계자들은 각종 규제와 법제화를 들어 기존 방식의 의료 검진 체계를 고수 할 수 있음. 또한, 수집된 개인 의료 정보는 당사자의 이익에 반하게 사용이 될 수도 있으므로 보안과 개인정보 관리에 대한 법적, 도덕적 논의가 필요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