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줄기세포를 이용한 특이적 세포 분화에 대한 연구 동향
- 등록일2016-08-09
- 조회수7402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6-08-08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줄기세포
- 첨부파일
출처 :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줄기세포를 이용한 특이적 세포 분화에 대한 연구 동향
저자 : 이철 (울산과학기술원)
목차
1. 서론
2. 본론
2. 1 줄기세포의 종류
2.2 유도분화 (Directed differentiation)
2.3 저분자 화합물 (Small molecules)
2.4 In vivo reprogramming
2.5 유전체 편집 (Genome editing)
2.6 Organoids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재생의학(regenerative medicine)의 개념에 대해 미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웹사이트에서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프로메테우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즉 신의 노여움을 사 독수리에게 간을 쪼이는 벌을 받지만 매일 간이 재생되어 생명을 유지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다. 이러한 신화 속의 이야기가 현실에서도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많은 과학계 및 의료계 종사자들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사람의 몸은 200여 종 이상의 서로 다른 조직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성 세포의 수는 모두 60조에서 100조 개 정도라고 한다. 이러한 세포들이 제 기능을 나타내지 못하거나 소실된 경우 이를 대체하거나 재생시켜서 본래의 기능을 나타낼 수 있도록 복원시키는 의학 분야가 재생의학이다. 그리고 재생의학의 핵심에는 줄기세포를 이용한 생물 의학적 치료가 있다.
줄기세포란 미분화 상태의 세포로 자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세포로 자가증식(self-renewal)이 가능하고, 두 종류의 이상의 서로 다른 세포 종류로 분화(differentiation)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1990년대 후반 인간배아줄기세포(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의 확립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줄기세포 분야 연구는 2000년대 중반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 제작이라는 획기적인 업적 이래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또한 최근 인간체세포복제배아줄기세포(human somatic-cell nuclear transfer ESCs, hSCNT-ESCs) 수립에 성공함으로써 줄기세포 분야 연구는 한층 더 활발해지고 있다.
줄기세포 분야 연구 유형을 살펴보면 종류가 다른 각 만능줄기세포의 분자적, 기능적 특성 분석 및 각각의 비교 연구, 역분화 유도 프로토콜 및 기전 연구, 특이적 조직 세포로의 분화 프로토콜 개발 및 최적화 연구, 발생학적 기전 분석 연구, 환자유래 질병특이적 유도만능줄기세포주 수립 및 질병모델 구축, 후성유전학 및 분화전능성 유지 기전 연구 등이 있다[1]. 이와 같이 다양한 줄기세포 연구 분야 중 이 보고서에서는 만능줄기세포(배아줄기세포와 유도만능줄기세포)를 특이적 조직 세포로 분화 유도하는 방법의 종류와 특징 그리고 최적화와 관련된 연구를 중심으로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