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핵수용체 SHP의 세포생리학적 기능에 관한 고찰
- 등록일2016-09-06
- 조회수5807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6-08-29
-
출처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세포생리학#핵수용체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핵수용체 SHP의 세포생리학적 기능에 관한 고찰
이재만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생화학세포생물학교실)
서 론
핵수용체 (nuclear receptor) small heterodimer partner(SHP/NR0B2)는 인간의 48개 핵수용체 가운데 DNAbinding domain (DBD)가 없는 2개의 핵수용체 중 하나이며, 일반적으로는 표적유전자의 전사를 억제하는 전사 억제자(tranional corepressor)로써 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대사 경로를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15-18개월된 SHP knockout(KO) 쥐의 간에서 자발적으로 간암이 관찰됨에 따라, 핵수용체 SHP의 tumor suppressor로써의 역할도 제시 되었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유전자 발현의 일주율 (circadian rhythmicity) 조절에도 관여함으로써 SHP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핵수용체 SHP의 non-genomic function으로, 세포질에서 염증 억제에 중요한 인자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단을 통해 핵수용체 SHP의 세포생리학적 기능을 시대순으로 재조명 [그림1,2] 하고, 향후 핵수용체 SHP 연구의 전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