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연구자들은 어떻게 파킨슨씨 병이 시간에 걸쳐 두뇌의 활동을 바꾸는지를 조사

  • 등록일2016-09-08
  • 조회수8208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6-09-08
  • 출처
    NIH 미국 국립보건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파킨슨#뇌#바이오마커
  • 첨부파일

 

연구자들은 어떻게 파킨슨씨 병이 시간에 걸쳐 두뇌의 활동을 바꾸는지를 조사

신경 변화 추적은 연구자들이 질병 진행을 늦추는 치료법들을 테스트하는 것을 도와

 

 

4.JPG
【그림설명】파킨슨씨 병 환자에서의 두뇌 변화 추적

 

 

  ㅇ 새로운 연구는 파킨슨씨 병 및 두 개의 연관된 증후군을 겪는 개인들에서 시간에 걸쳐 특정 두뇌 영역에서의 신경 활동이 감소함을 발견

* 제공 : 플로리다 대학교 David Vaillancourt 박사

 

 

□ 신경과학자들은 어떻게 그들의 신경 반응이 시간에 걸쳐서 변화하는지를 보기 위해서 파킨슨씨 병 및 두 개의 유사한 질병에 걸린 환자들을 자세히 관찰

  ㅇ 국립보건원의 파킨슨씨 병 바이오마커 프로그램에 의해 연구비 지원을 받고 Neurology에 게재된 이 연구는 증상을 완화시키고 질병이 두뇌에 손상을 주는 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실험적인 치료를 테스트하기 위한 새로운 수단을 제공

 

□ 플로리다 대학교 응용생리학 및 신체운동학과 교수이자 수석 저자인 David Vaillancourt 박사는 만약 파킨슨씨 병에서 특정한 두뇌 지역에서의 활성이 일 년에 걸쳐서 감소한다는 것을 안다면 이러한 감소를 늦출 수 있는지를 보기 위하여 치료법을 평가하기 위한 문을 여는 것이 된다고 언급

  ㅇ 이는 파킨슨씨 병에 의해 야기된 두뇌 생리학에서의 만성적인 변화를 어떻게 치료들이 바꾸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

 

파킨슨씨 병은 운동을 조절하는데 필수적인 두뇌의 신경들을 파괴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ㅇ 이러한 신경 손실의 결과들을 완화하는 많은 치료법들이 존재하지만, 세포들의 파괴를 막는 치료법은 부재

  ㅇ 파킨슨씨 병에 대한 임상시험들은 치료법이 환자의 증상을 개선하였는지 여부를 관찰하는 것에 오랫동안 의존해왔으며 이런 연구들은 어떻게 치료가 기저의 진행성 신경퇴행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는 밝힌 바가 거의 없음

  ㅇ 그 결과, 증상을 개선하는 치료법들은 있지만 신경퇴행이 진행됨에 따라 효과성을 상실
  ㅇ 이번 새로운 연구에서는 특정 약물이 두뇌에서 질병의 진행을 늦추거나 더 나아가 멈출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바이오마커라고 불리는 측정가능한 목표들을 연구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완화

 

□ 국립보건원 국립 신경질환 및 뇌졸중 연구소의 프로그램 책임자인 Debra Babcock 박사는 수십 년간 이 분야에서는 파킨슨씨 병을 위한 효과적인 바이오마커를 탐색 왔다고 언급

  ㅇ 이 연구는 어떻게 두뇌 영상 바이오마커들이 파킨슨씨 병 및 다른 신경질환들의 진전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조

 

□ 국립 신경질환 및 뇌졸중 연구소 프로그램 책임자 Katrina Gwinn 박사는 파킨슨씨 병 바이오마커 프로그램은 파킨슨씨 병의 증상뿐만 아니라 원인에도 영향을 주는 치료법 개발을 향한 움직임의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부언

 

□ Vaillancourt 박사 팀은 건강한 대조군과 파킨슨씨 병에 걸린 환자들 및 두 가지 형태*의 “비전형적 파킨슨씨병” 환자들의 사전에 결정된 두뇌 지역들에서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능 핵자기공명 영상을 사용
    * 다계통 위축증(multiple systems atrophy, MSA), 진행성핵상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 PSP)

  ㅇ 연구자들은 이러한 3가지 질병 환자들에 관한 과거 연구들의 발견에 기반하여 운동과 균형에 필수적인 특정 두뇌 지역들을 선정

  ㅇ 참가자들은 악력 측정을 완료하면서 일 년 간격으로 두 번의 스캔을 수행

 

□ 건강한 대조군은 일 년 후 신경 활성에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파킨슨씨 병 환자 참가자는 경막과 일차 운동 피질이라고 불리는 2개 두뇌 지역의 반응에서 감소를 보였음

  ㅇ 기존 연구에서 파킨슨씨 병 환자의 일차 운동 피질의 활성 감소를 보여왔으나 이번 새 연구는 시간에 걸쳐서 이러한 부족이 악화됨을 최초로 제안

  ㅇ 다계통 위축증 환자에서 활성은 일차 운동 피질, 보조운동영역 및 上 소뇌에서 감소한 반면,

  ㅇ 진행성핵상마비 환자는 이들 3가지 영역들과 경막에서 반응의 감소를 보였음

 

□ Vaillancourt 박사 팀은 파킨슨씨 증상을 개선하고 두뇌변화의 진행을 늦추는 것으로 알려진 실험적인 약물들을 검사하기 위하여 기존에 규명된 것에 더해서 새롭게 발견된 바이오마커를 사용하기를 희망

 

□ Vaillancourt 박사는 대조군에서는 일 년에 걸쳐서 변화가 없었지만 환자 집단에서는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이들 마커들은 질병에 대한 치료법을 평가하는데 이용 가능하다고 설명

  ㅇ 치료법이 이러한 변화 발생을 막는지 여부를 관찰할 수 있으며 만약 관찰된다면 이는 질병을 변화시키는 영향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고 강조

 

□ 이 연구는 국립보건원(NS052318, NS075012, NS082168)에 의해 지원

 

 


☆ 국립 신경질환 및 뇌졸중 연구소(NINDS)

 - 국가 차원에서 뇌와 신경 시스템에 관한 연구에 대한 지원을 선도

 - 뇌와 신경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지식을 찾고 신경질환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미션

 

☆ 미 국립보건원에 대하여 : 미 국립보건원은 국가에서 설립한 의료 연구기관으로 27개 연구소와 센터로 구성

 - 기초, 임상 및 중개 의료 연구를 지원하는 주요 연방기관이며 질환들의 원인, 대처 및 치료를 연구

 - 보다 많은 정보가 필요한 경우 www.nih.gov 방문 요망

 

 

【참고문헌】

Burciu et al. Functional MRI of Disease Progression in Parkinson’s Disease and Atypical Parkinsonian Syndromes. Neurology. July 15, 2016. DOI: 10.1212/WNL.0000000000002985.

 

 

* 출처 : 보도자료(2016년 8월 15일)
        (https://www.nih.gov/news-events/news-releases/researchers-examine-how-parkinsons-disease-alters-brain-activity-over-time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