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광견병은 2020년까지 페루 해안까지 확산 가능

  • 등록일2016-10-12
  • 조회수5470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6-09-13
  • 출처
    NIH 미국 국립보건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광견병#흡혈박쥐#페루 해안 #페루
  • 첨부파일

 

광견병은 2020년까지 페루 해안까지 확산 가능

수컷 흡혈박쥐들이 바이러스 전파의 유력한 용의자


* 동 결과는 연구재단-국립보건원-농무성의 감염성 질병들의 생태학 및 진화 프로그램 중 19번 부분으로 수행


 

noname01.jpg

【그림설명】 흡혈박쥐 군체

  ㅇ 과학자들은 흡혈박쥐와 광견병 사이의 새로운 연결을 발견

    * 제공 : D. Streicker

 

□ 국립과학원회보에 금주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광견병은 현재는 바이러스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페루의 태평양 해안에 4년 내에 도달할 전망

 

□ 연구자들은 매년 10마일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는 이 매개체 감염 바이러스는 감염된 수컷 흡혈박쥐들에 의해 운반되는 것으로 보이며 2020년 6월까지 페루 해안에 도달 가능할 것이라고 보고

  ㅇ 추가적인 분석들은 성숙함에 따라 그들의 군체를 떠난 수컷 박쥐들은 바이러스를 서쪽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안데스 산맥의 회랑지대들을 이용함을 규명

 

□ 이 연구를 지원한 연구재단의 감염성 질병의 생태학 및 진화 프로그램의 책임자인 Sam Scheiner는 무엇이 질병이 전파를 조절하는지에 대한 이해는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언급

  ㅇ 이 연구는 현대 유전학적 도구들이 이러한 전파를 측정가능함을 보여준다고 설명

  ㅇ 향후에는 이와 같은 도구들이 박쥐 광견병과 같은 알려진 질병과 새롭게 발생하는 질병들의 제어에서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

 

□ 이번 논문의 공저자인 조지아 대학교의 생태학자 Sonia Altizer는 이러한 발견들은 향후 광견병 발생에 대비하고 완화시키려는 페루와 주변국들의 공중보건 공무원들을 도울 수 있다고 언급

 

□ 광견병은 매년 인간 사망자와 가축에서 3천만 달러의 손실을 야기함으로써 라틴 아메리카의 공중 보건 및 농업에 심각한 위협

  ㅇ 흡혈박쥐들은 주로 그들의 흡혈행동 때문에 인간과 가축에서의 광견병 사례들의 다수의 원인

 


< DNA는 바이러스 계보를 보여준다 >

 

□ 광견병에 의한 인간 및 가축 사망은 기존에는 바이러스가 없던 지역에서 광견병이 발생하면서 증가 추세

  ㅇ 흡혈박쥐 집단의 규모를 감소시키는데 집중하는 현재의 광견병 통제 노력은 비효율적으로 증명되어왔음

 

□ 과학자들은 어떻게 박쥐 분산이 바이러스 침투를 이끄는지에 대한 이해가 바이러스의 예상되는 전파를 예측하고 이를 막기 위한 전략을 만드는데 있어서 그런 까닭으로 핵심적이라고 언급

 

□ 실시간으로 감염된 흡혈박쥐들의 추적의 어려움 때문에 연구자들은 바이러스 전파의 역사적인 패턴들을 탐구하기 위하여 박쥐들과 광견병 바이러스로부터 DNA를 샘플링

 

□ Glasgow 대학교의 Altizer와 Daniel Streicker는 페루 전역에서 감염된 가축으로부터 확보된 광견병 바이러스 264개 샘플에서 DNA를 분석

  ㅇ 그들은 바이러스가 3개의 공통된 조상들 중 하나로 추적되어질 수 있음을 발견

    - 안데스 산맥의 동쪽에서 발생한 두 개의 바이러스 계보들과 남쪽으로 난 안데스 산맥 사이의 계곡들의 세 번째 바이러스 계보

 


< 밝혀진 범인 >

 

□ 흡혈박쥐들의 DNA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팀은 468마리의 박쥐들로부터 조직 샘플들을 채취

  ㅇ 그들은 그리고 나서 2가지 종류의 DNA를 관찰

    - 하나는 양쪽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핵 DNA이고 다른 하나는 모계로 유전된 미토콘드리아 DNA

 

□ 모계로 유전된 DNA에 대한 분석은 유사한 모계 계통을 가진 대부분의 박쥐 집단들은 단일한 지질적인 지역에 배타적으로 살고 있으며 이는 암컷들이 다른 지역 사이들을 이동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 줌

 

□ 그럼에도 불구하고 핵 DNA에 대한 분석은 전혀 다른 이야기를 말함

  ㅇ 연구자들은 동일한 핵 DNA 서명을 가진 박쥐들은 3가지 지질학적인 위치로 모이며 3가지 DNA 계통들의 공간적인 분포는 광견병 바이러스의 3가지 유전학적 집단과 매우 유사함을 발견

  ㅇ Altizer는 아주 간결하게 이는 수컷 흡혈박쥐들이 대륙 수준에서 넓게 퍼진 광견병에 책임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언급

  ㅇ 유전학적인 마커들은 암컷들에서는 높은 위치 충실도를 보인 반면 수컷에서는 그렇지 않았으며, 양쪽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박쥐들의 핵 DNA의 유전학적인 구조는 광견병 바이러스 유전학적인 구조와 일치하였지만 모계로 물려받은 미토콘드리아 DNA 마커들은 전혀 일치하지 않았다고 설명

 

□ 광견병 바이러스 샘플들의 수집 일자들을 고려할 때, 연구자들은 국가에 걸쳐 바이러스의 역사적인 전파를 재구성

  ㅇ 페루의 자세한 지도와 이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향후 가능한 광견병 침입을 예상 가능

 


< 연락처 및 관련 정보 >

□ 언론 연락처

  ㅇ Cheryl Dybas, NSF (703) 292-7734 cdybas@nsf.gov

  ㅇ Beth Gavrilles, UGA (706) 542-7247 bethgav@uga.edu

 

□ 연구자

  ㅇ Daniel Becker

  ㅇ Robert Poulin

  ㅇ Sonia Altizer

  ㅇ Alonso Aguirre

  ㅇ Katherine Smith

  ㅇ Daniel Streicker

  ㅇ Patrick Stephens

 

□ 소속기관

  ㅇ University of Georgia Research Foundation Inc

 

□ 관련 프로그램

  ㅇ Ecology and Evolution of Infectious Diseases

 

□ 연구비

  ㅇ #1316223 RCN Proposal: Macroecology of Infectious Disease

  ㅇ #1601052 DISSERTATION RESEARCH: Consequences of resource heterogeneity for immune defense, connectivity, and rabies dynamics in vampire bats

  ㅇ 총 연구비 : $426,835

 

□ 관련 웹주소

  ㅇ NSF 특별보고 : 감염성 질병들의 생태학 및 진화 : https://www.nsf.gov/news/special_reports/ecoinf/

  ㅇ 감염성 질병들의 전파를 늦추기 위하여 연구재단, 국립보건원, 농무성은 새로운 연구를 지원 : https://www.nsf.gov/news/news_summ.jsp?cntn_id=136044

  ㅇ 지카 바이러스 연구를 위한 연구재단의 170만 달러 긴급 연구비 지원 : https://www.nsf.gov/news/news_summ.jsp?cntn_id=138472

 

 ㅇ 연구재단은 과학 및 공학이 전 분야에 걸쳐서 기초 연구 및 교육을 지원하는 독립적인 연방 기관

  - 2016년 회계연도에 기관 예산은 75억 달러

  - 연구재단은 모든 50개 주에 걸쳐 거의 2,000개 대학 및 다른 기관들에 연구비를 제공

  - 매년, 연구재단은 48,000건 이상의 경쟁 제안서를 접수하여 약 12,000 건의 새로운 연구비를 지원

  - 연구재단은 또한 6억 2천 6백만달러를 매년 전문적인 서비스 계약을 지원

  - 새로운 소식은 전자우편을 통해 얻을 수 있음

 

□ 유용한 연구재단 웹 주소들

  ㅇ 연구재단 홈 페이지 : http://www.nsf.gov

  ㅇ 연구재단 뉴스 : http://www.nsf.gov/news/

  ㅇ 뉴스 미디어 : http://www.nsf.gov/news/newsroom.jsp

  ㅇ 과학 및 공학 통계 : http://www.nsf.gov/statistics/

  ㅇ 연구비 검색 : http://www.nsf.gov/awardsearch/

 

 

* 출처 : 보도자료(2016년 9월 13일)
        (http://www.nsf.gov/discoveries/disc_summ.jsp?cntn_id=189583&WT.mc_id=USNSF_51&WT.mc_ev=click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