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선택적 스플라이싱과 암 (Alternative splicing and Cancer)

  • 등록일2016-11-16
  • 조회수10415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6-11-16
  • 출처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선택적 스플라이싱#암#Alternative splicing#Cancer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선택적 스플라이싱과 암 (Alternative splicing and Cancer)

 

 김 은 희 (울산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1. 서론
 RNA에서 인트론(intron)이 제거되고 엑손(exon)이 연속적인 mRNA 로 연결되는 과정인 RNA 스플라이싱(splicing)은 거의 모든 인간 mRNA의 성숙(maturation)에 꼭 필요하며, 많은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중요한 단계이기도 하다. 이러한 RNA splicing이 여러 대체적인(alternative)방식으로 일어나는 선택적 스플라이싱은 (alternative splicing)은  하나의 유전자로부터 서로 다른 방식으로 유전 정보를 이어 붙여 약간씩 다른 단백질(protein) 동위체(isoform)들을 생성함을 통해 세포내 프로테옴(proteome)의 다양성을 확장시킬 수 있다.

 최근 여러 연구 결과들을 통해 잘못 조절된 splicing으로 인한 스플라이싱오류 (missplicing)가 암의 발생, 진행 뿐만 아니라 항암제 내성과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 졌다 [1]. 이러한 missplicing은 스플라이세오좀(spliceosome- splicing에 필요한 단백질인자들에 의해 형성되는 복합체) 구성 인자들의 발현 변화[2-4] 및 돌연변이(spliceosomal mutation)[5-8] 뿐만 아니라 암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splicing 조절 부위 배열 (sequence)에 발생한 mutations[9,10], 등을 통해 일어난다고 보고되었다. 특히 spliceosomal mutations에 관한 연구들은 이러한 mutation을 갖고 있는 spliceosomal 단백질들이 정상 단백질과는 다른 splice site 인식 또는 선택적인 exon 인식 등을 통해 암과 연관된 missplicing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결과들을 보여주었다[11-13].

 이러한 결과들은 spliceosomal mutation이 암의 발생 및 진행과 관련하여 생화학적, 유전체적 그리고 생물학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대두시켰으며, 나아가 이러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splicing과정이나 spliceosome 단백질들을 직접 표적화 할 수 있는 신약들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