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녹색 · 기후기술 백서 2017
- 등록일2017-02-23
- 조회수5641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17-02-23
-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녹색?기후기술 백서 2017
- 첨부파일
출처 : 미래창조과학부
녹색 · 기후기술 백서 2017
녹색 기후기술 백서 2017 발간 하였습니다.
[ 목 차 ]
발간사
축사
서문
1부 녹색?기후기술 정책과 국제협력
Chapter 1 녹색?기후기술의 이해
01 녹색?기후기술의 정의
02 녹색?기후기술의 중요성과 전망
03 녹색?기후기술의 범위 및 영역
Chapter 2 녹색?기후기술의 국내?외 정책 및 제도
01 태양전지 분야
02 바이오연료 분야
03 연료전지 분야
04 이차전지 분야
05 전력IT 분야
06 CCS 분야
07 부생가스 전환 분야
08 CO2 전환 분야
09 CO2 광물화 분야
10 공통플랫폼 분야
Chapter 3 글로벌 녹색?기후기술 네트워크 및 해외 온실가스 감축 전략
01 유엔기후변화협약 하의 기후기술 국제협상과 개도국 기술이전
02 10대 녹색?기후기술 관련 국제협력 및 네트워크 현황
Chapter 4 녹색?기후기술의 주요성과 및 기술?산업?정책적 시사점
01 한국 녹색?기후기술의 주요성과
02 10대 녹색?기후기술의 기술적?산업적 활용방안
03 10대 녹색?기후기술 국내?외 정책동향 분석결과 및 시사점
2부 10대 녹색?기후기술의 기술?산업?정책현황
Chapter 1 태양전지
01 실리콘 사용량 축소
02 모듈 제조비용 절감
03 초박형 실리콘 태양전지 효율 제고
04 CIGS 박막 태양전지
05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06 유기 태양전지
07 염료감응 태양전지
08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Chapter 2 연료전지
01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스택 고성능화 및 저가화
02 발전용 용융탄산염?인산형 연료전지 출력?내구성 향상
03 수소 제조 및 저장 비용 절감
04 차세대 연료전지
05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06 연료전지 복합발전
Chapter 3 바이오연료
01 미세조류 바이오리파이너리
02 바이오연료 생산 플랜트
03 미활용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04 신규 바이오매스 자원 대량 확보
Chapter 4 이차전지
01 리튬이온이차전지 성능 고도화
02 초고용량 커패시터 에너지밀도 향상
03 차세대 이차전지 에너지밀도 향상
04 ESS 저가화?장수명화?고효율화
05 차세대 대용량 이차전지
Chapter 5 전력IT
01 건물/가정용 EMS 에너지 절감률 향상
02 공장용 EMS 에너지 절감률 향상
03 EMS 도약기술 개발
04 신재생에너지 간 열원 통합 및 블록히팅 제어
05 ESS 활용 전기에너지 융복합 및 V2G 기술
Chapter 6 CCS
01 CO2 포집기술
02 CO2 수송 및 저장기술
Chapter 7 부생가스 전환
01 부생가스 자원화 청정연료 생산
02 부생가스 자원화 플라스틱 원료 생산
03 유기성폐기물 자원화 수송연료 및 화학제품 생산
Chapter 8 CO2 전환
01 수소이용 액체연료(경유, 메탄올)생산
02 생물 기반 플라스틱 원료 생산
03 CO2 플라스틱 및 신소재 생산
04 전기화학 기반 화학원료 생산
05 태양광 기반 고부가가치 화학원료 생산(인공광합성)
Chapter 9 CO2 광물화
01 CO2 및 산업?발전부산물 활용 시멘트/콘크리트, 친환경 폐지펄프 생산기술
02 CO2 및 석회수 활용 나노소재 탄산칼슘 및 자동차용 복합소재 생산기술
Chapter 10 공통플랫폼 기술
01 기상?기후 고해상도 관측?예측
02 기후위험에 대한 건강영향 감시?예측
03 기후위험에 대한 식량영향 감시?예측
04 기후 영향 취약성 분석 상세화
05 기후 리스크 통합관리 기반
06 기후재해 선제적 예방
07 재해 피해 정량화 기술
08 피해 저감?복구
09 기후 위기자원 관리
10 적응정책 통합 관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