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2015년 의약품·의료기기 연구개발 실태조사

  • 등록일2017-03-30
  • 조회수5470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7-03-24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HISS 보건산업통계
  • 원문링크
  • 키워드
    #의약품#의료기기#연구개발#실태조사
  • 첨부파일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HISS 보건산업통계

 

2015년 의약품·의료기기 연구개발 실태조사

 

[목 차]

 

제1장 연구의 개요

제2장 산업 및 연구개발 동향

제3장 의약품·의료기기 연구개발 실태조사 방법

제4장 의약품·의료기기 연구개발 실태조사 결과

제5장 결 론

부 록

 

 

제1장 연구의 개요


1. 배경 및 필요성


1.1 연구배경


1) 기존 연구개발 관련 통계 현황
○ 국내 연구개발투자현황에 대한 대표적인 조사로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연구개발활동조사」가 있음
 - 그러나 전산업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있기 때문에 제약,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산업 등 보건산업별 연구개발투자의 현황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음
 - 현재는 “연구개발활동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보건산업의 연구개발 통계를 생산하고 있으나 개별연구기관 및 보건산업에 적합한 세부 분류 자료가 부족함
 - 특히 민간 연구개발과제에 대한 세부 조사 자료가 부족함
○ 연구개발활동조사를 비롯해 R&D 실태 및 성과 관련 국내 주요 통계 현황은 (표 1-1)과 같음

 

표 1-1 연구개발 관련 조사 및 통계 DB 현황

 

2) 보건산업 기업체 연구개발 관련 통계 현황 및 한계점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보건산업 연구개발실태 조사?분석은 미래창조과학부와 KISTEP의 「연구개발활동조사」에서 한국표준산업분류를 기준으로 보건산업 범위에 해당하는 통계자료를 지원 받아 보건산업 기업체 연구개발 투자 동향을 분석?제공함

 - 제공받는 자료는 기업 개별 자료가 아닌 각 산업분류코드별 통계자료로, 제약, 의료기기 등 보건산업 개별 분야에 대한 연구비 분류가 어렵고, 주 업종은 아니지만 보건산업 내에서 매출 및 생산액 비중이 큰 상위기업 자료가 누락될 수 있음

 - 또한 대기업의 경우 여러 분야에 걸쳐 매출을 창출하고 있고, 최근 산업간 융합이 가속화되면서 1개 기업이 주력 분야 외에 다른 산업 분야에도 R&D를 투자하고 있어, 기업 전체 성과지표로는 보건산업 분야에 실질적으로 투자되고 있는 매출이나 R&D 투자 규모가 과대 또는 과소 측정될 수 있으며, 세부 연구분야?과정별 R&D 실태, R&D 투입 대비 효과 등 파악이 용이하지 않음

 

표 1-2 보건산업 기업체 연구개발실태 분석 현황


1.2 연구목적 및 필요성

○ 제약?의료기기 연구개발 실태(연구비, 연구개발과제, 연구인력 현황 등)의 심층 조사를 통해 연구개발자원의 효율적 배분 및 활용
○ 연구개발 투자의 방향성 및 효과(투입대비 효과) 분석 필요
○ 현재, 보건산업의 연구개발 통계를 유관기관에서 생산하고 있으나 보건산업 정책수립에 필요한 세부 분류 자료가 부족하여 정책활용에 미흡
○ 제약, 의료기기의 세부 분야별 투자 현황을 제공하여 보건산업 연구개발 정책 수립을 지원하여 산업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자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