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화장품 기술개발 동향 및 정책 방향
- 등록일2017-05-23
- 조회수6624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17-05-18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화장품#기술개발#화장품기술#피부과학#화학공학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기획단/R&D조사분석팀
화장품 기술개발 동향 및 정책 방향
윤한술 ㈜실전전략연구소
[ 목차 ]
1. 화장품산업 특성 및 국내 현황
2. 화장품산업 전망과 주요 트렌드
3. 주요 기술개발 동향
4. 연구개발에 대한 정책 제언
피부과학과 화학공학의 결합에 기초하는 화장품의 세계시장은 최근 약 4%대의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향후 5% 대로 높아지면서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화장품산업은 사회문화적 측면에서는 고령화 사회의 진전으로 ‘항 노화 화장품’이 연간 10.4%의 빠른 성장과 시장 확대가 예상된다. 과학기술적 측면에서는 효능에 대한 명확한 근거 제시를 요구하는 ‘과학적 증거주의’ 가 확산되고 있다. 과학기술적 측면의 또 하나의 트렌드는 기술융복합화로 IT, BT, NT 등 첨단기술과의 융합과 의료, 제약기술과의 접목에 의한 코스메슈티컬 시장, 먹는 식이화장품(Inner Beauty)시장의 성장 등이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글로벌화의 진전에 의한 해외시장 진출 기회의 확대와 경쟁의 글로벌화이다. 최근 우리나라 화장품은 한류 등의 영향을 받아 수출이 28.7%(2011~ 2014)의 고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생태 환경적 측면에서는 생태파괴로 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천연화장품의 고성장세가 전망되고 있다. 정치·법률적 측면에서는 나고야의정서 등의 영향으로 동물의 실험을 대체하는 대체실험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또한 자연 친화성을 나타내는 인증 화장품 시장의 확대가 전망된다. 우리나라 화장품 생산은 수출 고 성장세에 힘입어 년 10.5%에 이르는 성장률을 시현하고 있으나 선진대비 기술수준은 80% 수준으로 취약하다. 화장품산업이 우리나라 주력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 투자가 필요하다. 근원적인 경쟁력 강화를 위해 3% 수준에 머물고 있는 피부기초과학에 대한 투자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과학적 근거주의 영향으로 이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증대될 것이다.
화장품산업은 융복합 연구의 필요성이 더욱 큰 산업으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소재기술 분야는 화장품연구개발의 가장 핵심적인 분야로 미백, 주름개선 등 특정 단기적 성과지향 및 효능검증 중심에서 합성생물학 및 생물전환 기술기반의 차세대 소재생산 기술개발에 대한 연구로 확대해 나가는 방향으로의 정책 전개가 요구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