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긴 비암호화 RNA의 세포 내 합성 및 기능의 특징
- 등록일2017-07-27
- 조회수6120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7-07-20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비암호화 RNA#세포 내 합성기능
- 첨부파일
출처 :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긴 비암호화 RNA의 세포 내 합성 및 기능의 특징
[요약문]
긴 비암호화 RNA (long non-coding RNA, lncRNAs)는 단순히 단백질을 암호화하지 않는 mRNA와 유사한 형태의 전사체 또는 전사과정에서 생산되는 부산물 정도로 인식되었으나, 최근 연구를 통해 전사 후 과정이나 후생유전학적 조절기전에 관여하는 등 mRNA와 구별되는 다양한 특징이 밝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초생물학적 연구결과는 다양한 질병의 원인을 이해하고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보고에서는 lncRNA의 분자생물학적 특징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 생물학적 기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논의해 보고자 한다.
[목차]
1. 서론
2. lncRNAs의 정의
3. lncRNA의 전사조절기능
3.1 lncRNA 발현의 예외적 세포 유형 및 세포 상태 특이성
3.2 염색질이 lnc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3.3 분지전사(Divergent tranion)
4. lncRNAs의 전사 후 조절
4.1 RNase P에 의한 유전자의 3’ 말단 변형
4.2 lncRNA 가공의 특별한 예
5. lncRNAs의 세포 내 위치
5.1 핵 vs 세포질 논쟁
5.2 리보좀과 lncRNAs의 상관관계
6. lncRNA의 분해
6.1 Cryptic unstable trans
6.2 Nonsense?mediated decay (NMD)
7. Cis-조절에 따른 lncRNAs?순환
7.1 Enhancer RNAs와 염색체 고리화
7.2 각인된 유전자좌에서 lncRNAs의 역할
7.3 lncRNAs에 의한 유전자량 보상
7.4 antisense lncRNA 전사에 의한 유전자 발현 억제
7.5 lncRNAs의 자가조절 기능
8. 마치며
1. 서론
대부분의 게놈 서열은 다양한 단백질 암호화 RNA (messenger RNA, mRNA)와 긴 비암호화 RNA (long non-coding RNA, lncRNAs)로 전사되기 때문에 세포 내 전사체 구성은 우리가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복잡하다. 게놈과 전사체 전체를 놓고 볼 때, lncRNAs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또한 모든 생명유지과정에서 확인되고 있어 생명현상의 복잡성은 단백질 암호화 RNA보다는 lncRNA의 기능과 더 밀접한 연관성을 가질 것으로 보고 있다.
비록 lncRNA의 기능적 역할과 작용기전은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몇몇 연구를 통해 효소활성, 세포의 분화, 유전자 돌연변이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lncRNA는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다른 유전자의 전사과정에서 비특이적으로 동반되는 lncRNA의 발현(tranional noise), lncRNA의 전사가 일어나지만 전사물 자체는 생물학적 기능을 하지 않는 경우, cis 또는 trans로써 생물학적으로 조절기능을 갖는 lncRNA이 그것이다. 이번 리뷰에서는 포유류의 lncRNA가 일반적인 단백질 암호화 RNA와 기능적으로 어떤 차이를 갖는지 그 특징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