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치매 위험요인 기여도 분석과 치매 관리 방안 모색
- 등록일2017-08-01
- 조회수4681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7-07-17
-
출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치매 위험요인#치매 관리방안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치매 위험요인 기여도 분석과 치매 관리 방안 모색
- 2002년에 60세 이상인 동일 인구 집단을 11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치매 유병률이 2002년의 0.52%에서 2013년에 10.70%로 급증하였음.
- 한편, 교육 수준(중졸 이하), 65세 미만 성인의 비만, 65세 미만 성인의 고혈압, 신체 비활동, 흡연, 당뇨병, 우울증 등 7개의 치매 위험요인이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친 치매에의 기여도는 59.69%인 것으로 분석됨.
1. 서론
■ 치매(dementia)는 전 세계적으로 우선순위가 매우 높은 공공보건 정책 이슈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음(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 전 세계적으로 치매를 앓고 있는 환자 수는 2015년에 약 4680만 명으로 추산되며 2030년 7470만 명, 2050년에는 1억 315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World Alzheimer’s Report 2015).
○ 우리나라가 포함된 아시아·태평양 고소득 국가(Asia Pacific High Income)의 2015년 치매 환자 유병률은 약 7%이며, 치매 환자 수 증가율은 2015년부터 2030년까지 약 56%, 2015년부터 2050년까지는 약 115%가 될 것으로 예상됨
■ 우리나라에서는 2015년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자 중 30.23%가 치매를 앓고 있으며, 뇌졸중도 동시에 앓는 경우는 6.74%로 나타남.
■ 치매 환자의 유병인구 증가와 함께 치매 환자를 치료·수발하기 위한 비용과 사회적 부담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어 치매 예방·관리 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임.
○ 국회예산정책처(2014)3)는 치매의 사회적 비용이 2013년 11조 7000억 원에서 2030년 23조 1000억 원, 2040년 34조 2000억 원 등으로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라고 제시하고 있음.
○보건복지부는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16~2020년)을 수립하여 치매 예방과 관리를 위한 정책을 수행하고 있음.
-전국 시·군·구 보건소에서는 치매 환자 조기 발견과 치료를 위해 매년 치매검진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치매 노인 등록과 관리, 치매 노인과 보호자에 대한 상담·지원, 치매 예방 및 치매 노인 간병 요령 등과 관련한교육 실시, 재가 치매 노인 방문·관리, 치매 노인 관련 사회적 지원 안내 등의 업무를 하고 있음.
■ 치매의 정책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관련 역학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본고에서는 기초 역학 분석을 하고, 효과적으로 치매를 예방·관리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자 함.
○ ① 치매 유병률 ② 치매 환자의 복합만성질환 유형 분석 ③ 치매 사망률 ④ 치매 위험요인이 치매에 미치는 영향력
(기여도) 분석 ⑤ 치매 예방 및 관리 사업의 개선 방향 제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