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암 생성에 Moonlighting 단백질들의 역할
- 등록일2018-01-22
- 조회수5994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7-11-09
-
출처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암#Moonlighting 단백질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암 생성에 Moonlighting 단백질들의 역할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백승준
○ Introduction
인간 게놈은 3x10?bp의 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고 약 2만개의 단백질 코딩 유전자를 함유하고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우리의 몸은 20,000개 이상의 단백질을 생산한다. 실제로, 'proteoform'이라는 용어는 유전적 변이, alternative splicing으로 접합 된 RNA 전사체 및 번역 후 변형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으로 인한 변화를 포함하며, 단일 유전자의 단백질 생성물이 발견 될 수 있는 모든 다른 분자 형태를 나타 내기 위해 사용되어지는데, 그것에 의하면 인간은 1x10? proteoforms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정된 유전자에서 다양한 단백질들이 생성되는 기작들중에서 한가지 단백질이 여러가지 기능을 나타내는 단백질을 "moonlighting protein" (달빛 단백질)이라고 명명되어지는데, 이는 구어체적으로 주된 직업 이외에 보조 직업을 갖는 것을 말한다. 달빛 단백질은 유전자 수와 단백질 수 사이의 차이를 설명하며, 점점 더 많은 수의 달빛을 내는 단백질이 여러 인간 질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달빛 단백질은 1999년 Dr. Jeffrey에 읳서 그 개념이 도입되었으며 [1], 이러한 이중 역할의 중요성을 자세히 검토함으로써 질병기작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달나라를 꿈꾸던 소년, 우주생명과학을 연구하다
-
다음글
- TAILORED-TREATMENT: 호흡기 감염 및 염증에 대한 새로운 숙주-병원체에 대한 이해와 맞춤형 항균성 치료 계획의 개발
지식
동향
발간물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6화 “암 오가노이드 연계 면역세포 치료기술” 편 2019-07-29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5화 “광의학 치료기술” 편 2019-07-09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2화 “조직별 면역세포의 세포체 지도” 편 2019-05-16
- 정책/기획보고서 효율적 암 연구개발을 위한 국립암센터기관고유연구사업 성과분석 및 평가 2013-02-22
- 정책/기획보고서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및 발전방안 도출을 위한 기획연구 2013-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