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신종 감염병에 대한 과학기술적 대응 방안
- 등록일2018-02-06
- 조회수5387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8-01-31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종 감염병#과학기술적 대응
- 첨부파일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신종 감염병에 대한 과학기술적 대응 방안
□ 신·변종 인체 감염병이 지속적인 위협과 손실을 초래함에 따라 각국은 감염병 대응을 글로벌 안보 이슈(biosecurity)로 인식
- 지구환경 변화, 국가 간 교류 증대 등으로 인해 신·변종 및 원인 불명 감염병의 국내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
- 감염병 발생·확산은 국민보건뿐만 아니라 경제·사회적으로도 심각한 손실 초래
- 감염병을 안보 위협으로 인식하고 대응함에 있어 개별 국가의 노력만으로 충분하지 않아 글로벌 차원의 대응과 협력이 중요
□ 주요 선진국들은 국가안보 차원에서 감염병 대응을 위한 정책방향을 수립하고 과학기술적 해법을 모색
- 미국 등 주요 선진국들은 감염병을 우선투자 분야로 선정하고 관련 연구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감염병 R&D와 감염병 대응·관리 체계를 연계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우리나라는 신·변종 및 해외유입 감염병 등에 대한 대응기술 확보 계획을 통하여 국가방역체계 전주기에 걸친 핵심기술 개발 지원 강화 및 유형별 특화 중점기술 개발로 감염병 확산에 대비한 범부처적인 대응체계 구축을 제시
□ 본 이슈 위클리에서는 국가안보 차원에서 신·변종 인체 감염병에 대해 전주기적 국가 방역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을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국가방역체계 전주기에 걸쳐 신종 감염병에 대비하기 위한 과학기술정책 현황과 관련 예산동향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과학기술적 역할을 도출
- 감염병과 관련된 국내외 정책 및 투자 동향, 인체 감염병에 특화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실태 점검 등을 통해 과학기술적 대응 현황을 살펴보고 주요 이슈를 분석하여 신종 감염병에 대비하기 위한 과학기술적 역할에 대해 제언하고자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