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농축산분야 육종을 위한 유전체 선발 방법의 연구동향

  • 등록일2018-02-21
  • 조회수5575
  • 분류기술동향 > 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 자료발간일
    2018-02-21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농축산분야 육종#유전체 선발 방법
  • 첨부파일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농축산분야 육종을 위한 유전체 선발 방법의 연구동향

 

요약문

 

유전체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은 유전체 선발이라는 농축산 분야의 새로운 육종 방법을 가능케 하였다. 유전체 선발은 유전체 내의 고밀도 유전변이를 마커로 사용하여 유전체 육종가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형질 혹은 QTL 매핑을 사용한 육종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부상하고 있다. 유전체 선발은 방법론에 대한 이론 연구와 실제 육종에 적용하는 응용 연구 등 두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유전체 선발 방법에 대한 이론 연구가 여러 각도에서 진행되고 있으나, 다양한 방법들의 체계적인 분석 및 마커의 상호작용을 포함한 방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의 경우는 주로 응용 연구에 치중하고 있는데, 한우 등 축산 분야에는 유전체 선발에 의한 육종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작물 분야에는 아직은 연구의 큰 흐름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현재 연구되고 있는 다양한 유전체 선발 방법들의 이론적 특성 및 상호 관련성 등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유전체 선발의 적용에 있어 축산과 작물의 차이점을 간단히 논하였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유전체 선발과 기계학습
  2.2 유전체 선발을 위한 모형 개요
  2.3 선형 모형
  2.4 비선형 모형
3. 결론
4. 참고문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