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동향 및 농식품 분야 적용 전망
- 등록일2018-04-02
- 조회수9208
- 분류기술동향 > 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
자료발간일
2017-12-21
-
출처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마이크로바이옴
- 첨부파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동향 및 농식품 분야 적용 전망
[목 차]
마이크로바이옴이란?
1. 개념 및 분류
2. 중요성 및 주요 적용분야
주요국의 정책 및 산업동향
1. 정책 및 투자동향
2. 산업동향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동향
1. 인체 마이크로바이옴(Human Microbiome)
2. 식물 마이크로바이옴(Phytobiome)
3. 레지스톰(Resistome, 항생제내성관리)
농식품 분야 응용전망
1. 농업의 과학화 및 식량생산성 향상
2. 기능성 식품 개발 및 전통발효식품 고품질화
3. 항생제 내성관리
참고문헌
Ⅰ 마이크로바이옴이란?
1 개념 및 분류
마이크로바이옴 개념
◈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미생물군집(microbiota)과 유전체(genome)의 합성어로 ‘미생물군유전체’라고 할 수 있으며 인간, 동?식물, 토양, 바다, 호수,
암벽, 대기 등에 공존하는 미생물 군집과 유전체 전체를 의미
- 주어진 환경에 서식하거나 또는 다른 생물과 공존하는 모든 미생물의 총체적인 유전정보 또는 ‘미생물군 자체’를 의미
* 마이크로바이오타는 마이크로바이옴에 비해 미생물 균주 그 자체에 중점을 둔 용어
* 유전체는 유전자의 집합체로서 한 생물이 가지는 모든 유전정보를 포괄하는 의미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