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스마트농업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등록일2018-04-11
- 조회수5954
- 분류기술동향 > 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
자료발간일
2018-04-01
-
출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스마트농업
- 첨부파일
스마트농업 기술 및 표준화 동향
민재홍 (Min J.H.) 기반표준연구실 책임연구원
박주영 (Park J.Y) 기반표준연구실 책임연구원/실장
초록
At present, agriculture in Korea is experiencing difficulties, such as a stagnation in farm income, an increase in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a decrease in arable land, a decrease in the self-sufficiency rate of grain, a decrease in rural population, and aging . To solve these problems and vitalize the rural economy, our government is promoting its 6th industrialization policy, which links agriculture with primary industry, secondary, industry and tertiary industry, and as well as smart agriculture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mart agriculture is an agriculture form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rural areas through making greater efficiency and intelligence by applying ICT convergence technology to the whole entire process of agricultural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in the areas of outdoor agriculture, facility horticulture, and livestock.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policy,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trends of domestic and foreign smart agriculture, and suggest ways to apply them to domestic smart agriculture during the in the introduction stage.
서론
팜 2050 리포트에 따르면, 현재 약 76억 명인 세계 인구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2050년에는 약 100억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였며, 인구증가로 인한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2050년에는 70% 정도 식량 생산이 증가해야 할 것으로 추정하였다[1]. 이러한 상황에서 향후 농업은 에너지 비용의 상승, 지하수 고갈, 농지 감소 및 환경규제, 기후 이상에 따른 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 하에서 식량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농업은 투입 에너지 최소화와 수확량의 최대화라는 과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농업은 농가소득의 정체, 수입농산물 증가, 농경지 감소, 곡물 자급률 하락, 농촌인구의 감소와 고령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최근 기후변화 심화로 농산물의 작황 및 생산량이 일정하지 못해 가격 역시 심하게 등락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농산물의 소비자인 국민의 안정적 먹거리 확보에도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농촌 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책으로 정부는 농업을 1차 산업, 2차 산업, 3차 산업과 연계한 6차 산업화 정책과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스마트농업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농업은 노지농업, 시설원예 및 축산 분야에서 농산물 생산·유통·소비의 전주기적 과정에 농업·ICT 융합 기술을 적용하여 효율화 및 지능화를 통한 농촌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농업형태를 의미한다. 특히 스마트팜은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을 온실, 축사, 과수원 등에 접목해 원격 및 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농장의 개념이다. 농림축산식품부의 ‘2016 농림식품 기술수준 평가’에 따르면 우리나라 농림식품 분야의 기술 수준은 최고기술 보유국(미국) 대비 78.4%로 주요 선진국을 추격하고 있으며, 스마트농업은 네덜란드 등 유럽에 비하여 도입 단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스마트농업의 국내외 정책, 기술 및 표준화 동향을 분석하여 도입단계에 있는 국내 스마트농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