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BC200 ncRNA의 최근 연구 동향

  • 등록일2018-06-18
  • 조회수5742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8-05-25
  • 출처
    지능형 바이오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BC200#ncRNA
  • 첨부파일

 

BC200 ncRNA의 최근 연구 동향

 

 

한국과학기술원 이영훈 교수

 

1. 개요
2001년 인간게놈 프로젝트를 통하여 유전체 전체 서열 중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구역은 단 2%에 불과하다는 것이 알려졌다. 이는 단백질 중심의 해석이 주를 이루어 왔던 분자생물학계의 큰 파장을 가져왔다. 이후 진행된 ENCODE 프로젝트에서는 전체서열의 약 60%가 넘는 구역에서 RNA를 합성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고 세포 내에서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부호화 RNA(coding RNA)보다 단백질을 만들어내지 않는 비부호화 RNA(noncoding RNA, ncRNA)가 훨씬 다양하게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그림 1). 

 


발견 초기 ncRNA는 특별한 기능이 없는 전사 부산물(Tranional noise)로 여겨졌지만 후속 연구를 통하여 생체 내 주요 기능들이 밝혀지고 있다. 1993년 대표적 ncRNA인 micro-RNA(miRNA)의 기능이 처음으로 확인되었고 이후 다양한 RNA의 생체 내 기능을 밝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 모델에서도 ncRNA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발병과정에서 비이상적인 발현을 보이거나 발병 메커니즘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ncRNA들이 새로운 신약 타겟 물질로써 주목을 받고 있다. 

 

  
BC200(brain cytoplasmic 200) RNA는 뉴런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200 nt 길이의 ncRNA이다. 발현 직후 수상돌기(dendrite) 부근으로 이동하여 단백질 번역 작용을 조절하면서 신경가소성(neuronal plasticity) 형성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1997년 Henri Tidege 교수는 각종 암세포에서 BC200 RNA가 비이상적인 발현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최근 들어 암세포 내 BC200 RNA의 기능을 밝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6 본 논고에서는 BC200 RNA의 초기와 최근의 연구 동향을 정리해보고, 향후 BC200 RNA 연구의 모델이 될 수 있는 신약 타겟 ncRNA들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