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식물 생체시계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연구 동향
- 등록일2018-08-09
- 조회수5483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8-08-09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식물#생체시계#연구 동향
- 첨부파일
식물 생체시계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연구 동향
요약문
생체시계(circadian clock)는 지구의 주기적인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진화된 시스템이다. 한 곳에 뿌리를 내리면 움직일 수 없는 식물의 생체시계는 동물에서 보다 더 많은 권한을 가지고 많은 발달과정에 관여하고 있다. 문헌마다 조금씩은 수치가 차이 나지만 식물 전사체의 약 30%~80%가 생체시계에 의해서 조절 받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처럼 생체시계는 식물이 살아가는데 중요한 내재적인 시스템으로 현재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식물에서 생체시계에 의해 조절되는 가장 유명한 식물 발생(plant development)는 개화(開花)이다. 생체시계는 외부 환경인 광주기성(photoperiod)을 인지하여 식물이 꽃을 피울 때를 알려준다. 이외에도 수많은 식물 발생이 생체시계와 연관되어 있음이 연구되고 있다. 이 연구동향 리포트를 통해서 개화와 같은 기존의 연구 결과를 포함하여 최근 들어 확장되고 있는 식물 생체시계 연구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도록 하겠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