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美, 중국을 겨냥한 규제 강화로 바이오테크 자금유입에 어려움 예고

  • 등록일2018-12-26
  • 조회수4823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자료발간일
    2018-12-13
  • 출처
    GT코리아,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미국#중국#바이오테크
  • 첨부파일
    • pdf KIATUS(워)18-정책-78 - 美 중국을 겨냥한 규제 강화로 바이오테크... (다운로드 49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美, 중국을 겨냥한 규제 강화로 바이오테크 자금유입에 어려움 예고

 

 

□ 美 바이오 테크 기업에 대한 중국의 투자에 대한 경계심 증가는 바이오 테크 벤처의 자금 확보에 위협이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음.

- 최근까지 중국 투자자들은 미 바이오 테크 기업의 자본 확보의 중심이었음.

- 중국은 세계경제의 거물로 발돋음하기 위해 제조 및 건설 분야를 넘어 첨단 기술 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먼저 제약 업계로 시동을 검.

- 중국의 첨단산업 육성을 통한 산업 고도화 정책은 트럼프 행정부의 긴장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를 견제하기 위해 미국계 제약회사, 의료기기 제조업체 및 기타 바이오 테크 기업들에 대한 중국의 자금 지원에 대해 면밀히 검토할 것이라고 시사함.

 

□ 새로운 미 행정부의 규제 방안을 살펴보면, 바이오 테크 분야를 항공 우주 장비 및 마이크로칩과 같이 국가 안보를 위한 중요 산업으로 정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지난달, 미국 상무부는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유전공학과 같은 첨단 기술의 수출에 대한 감독 강화 요청에 관한 공개적인 의견을 밝힌 바 있으며,

- 올해 초, 대미 외국인 투자심의위원회( Committee on Foreign Investment in the U.S)는 바이오 테크 및 관련 부문에서 외국 기업의 투자를 면밀히 조사할 수 있는 새로운 권한을 확보한 바 있음.

- 11월 20일 자 미국 무역 대표부(USTR)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생명공학 분야에 투자된 중국의 벤처캐피털은 최근 몇 년 동안 미국 내 중국 벤처캐피털 활동 증가의 핵심이라고 밝혔으며,

- 미국 무역 대표부(USTR)의 대표 로버트 라이트하이저(Robert Lighthizer)는 미국 기업에 대한 중국의 벤처캐피털 투자에도 주목하고 있음을 밝힘.

 

□ 미 행정부의 새로운 규제 움직임이 가시화되자 미국 내 기업과 투자자들은 변화에 적응하려는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

- 예로, 알렉산드리아 리얼 에스테이트 에쿼티즈(Alexandria Real Estate Equities Inc)의 회장인 조엘 마커스(Joel Marcus)는 일부 바이오 테크 기업은 원치 않는 정부의 정밀 조사를 피하기 위해 최근 자금 조달 라운드에서 중국의 투자자를 거절하는 경우도 있으며,

- 법률 자문을 통해 정부의 새로운 규제 사항을 면밀히 검토하여 앞으로의 영향과 대처 방안을 위한 지침 마련에 힘쓰고 있다고 밝힘.

 

□ 미 행정부의 새로운 규제는 미국뿐만 아니라, 아시아에서도 혼란을 야기하고 있음.

- 예로, 홍콩의 알리 브릿지 그룹(Ally Bridge Group)의 설립자 겹 CEO인 프랭크 유(Frank Yu)는 중국, 홍콩 및 대만의 투자자들로부터 새로운 규제에 대한 자문을 구하는 요청을 받고 있으며, 미국 기업들과 자본을 확충하는 과정에서 혼란이 있다고 밝힘.

 

- 유전자 분석을 통해 암 질환 등의 조기 진단을 위해 설립된 샌프란시스코 기반의 그레일(Grail Inc.)의 대변인 아놀드(Charlotte Arnold)는 대미 외국인 투자승인위원회(CFIUS) 법안에는 상당한 불확실성이 있으며, 국제 투자자들을 가지고 있는 바이오 테크 회사로서 새로운 규제가 사업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개발 상황을 모니터 하며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함.

 

□ 미국의 핵심 첨단 산업을 보호하는 것은 트럼프 행정부의 중요한 목표임. 10월 말 백악관 관계자는 바이오 테크 기술은 강경하게 보호해야 할 주요한 산업 분야라고 보고한바 있으며. 앞으로 미국의 바이오 테크 기술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중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 견제는 계속될 전망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