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2013년도(성과대상:201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사례집
- 등록일2019-03-11
- 조회수5325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9-03-04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국가연구개발#과학기술#생명과학#과학
- 첨부파일
2013년도(성과대상:201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사례집
[목차]
Chapter 01 기계·소재
대한민국 최초 우주발사체 개발 및 발사 성공
광폭 표면처리용 선형 이온빔 소스 및 공정기술 개발
국내기술로 개발한 차세대 분산형 고속열차(HEMU-430X) 기술 개발
수직이착륙 및 고속비행이 가능한 틸트로터(Tilt-Rotor)형 스마트 무인항공기 개발
송전급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케이블용 나노복합 소재 및 제품개발
민군겸용의 감시정찰 로봇
플라즈마(Plasma)를 활용한 대기환경 기술개발
첨단농업기술과 자동화 시스템의 결정체 ‘식물생산공장’ 기술개발
한국형헬기 민군겸용 핵심구성품 개발
현장타설 상온양생 200MPa 초고강도 콘크리트 개발
광물자원으로부터 나노기술의 초석이 되는 소중한 원료소재 제조 및 응용 기술 개발
광 흡수 및 방출을 동시에 증대시키는 전도성 산화물 나노입자 형성 기술 개발
IT기기용 고강도 내부식성 비정질(非晶質) 나노복합 신소재 및 가공 기술 개발
세계시장 주도를 위한 세계 최고 수준의 국산 로봇청소기 요소부품 모듈 및 완성품 기술개발
양성자 조사에 의한 3차원 나노패터닝(Nano patterning) 기술 개발
Chapter 02 생명·해양
크론성 누공(瘻孔) 치료제 “큐피스템ⓡ주” 개발
백수오(白首烏) 등 농산물의 고부가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세계화 기술 개발
치매치료(개선) 천연신물질 개발
u-Food 스마트 품질 모니터링 기술
농·산촌 소득증대를 위한 고품질 특용수종 신품종 개발
류마티스 관절염의 새로운 발병기전과 치료타겟을 학계 최초 규명
자폐증 원인 유전자 발견
뇌 신경망 맵핑(Mapping) 기술
작물의 생육과 면역력을 키우는 친환경 작물보호제 개발
희귀난치병 헌터(Hunter)증후군 치료제 개발
신약의 표적단백질을 찾아낼 수 있는 획기적 방법의 개발
세포 간 신호전달에 의한 암 제어 연구
암 관련 핵심인자들의 수명을 조절하는 생체 내 신규 물질들 발굴 및 이를 통한 항암제 개발
비만/당뇨 후보물질 도출 및 라이센싱
고부가가치 단백질 생산용 형질전환 작물 개발
천식 치료효능을 갖는 천연물소재 개발
합성 조절 RNA를 이용한 미생물 세포공장 기술 개발
첨단 유전공학기법을 이용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가금(家禽)티푸스 예방백신개발
국내 최초 여름철 및 열대지역 적응 사계절 딸기 품종개발과 보급
BNT(나노바이오기술) 융합 3차원 신소재를 이용한 실용적 차세대 진단 시스템 개발
한국형 유황돈육 생햄 제조 기술 개발
멸종위기 해수관상생물의 양식기술개발
바이오에너지 작물의 대량증식 및 바이오에너지 전환효소 생산기술
백혈병 치료제인 슈펙트ⓡ(성분명:라도티닙)의 개발
뇌의 모양을 결정하는 분자적 기전(機轉) 규명
Wnt 신호전달계 및 “라스(ras)” 단백질 조절기전 규명 및 단백질 개발 저분자 화합물 개발기술
심뇌혈관질환 예방 사이버주치의 개발
바이오 장기용 돼지의 신장과 심장을 원숭이에 이식 성공, 의료용 축산업 발전 기대
환경친화적 바이오에너지 자원 확보를 위한 바이오매스 생산용 형질전환 식물 개발 기술
Chapter 03 에너지·환경
저비용 단순공정의 초급속 연소합성법 개발
하이브리드용 모터 개발
나노복합체를 활용한 환경감시용 초고감도 센서 개발
압전/강유전/광전 특성 하이브리드 기반 차세대 에너지 하베스터(Harvester) 개발
농업 폐기물로부터 고부가가치 생산물 원료인 당을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기술 개발
초발수 청정표면 공정기술을 이용한 태양전지 커버유리 및 실리콘 음료용기 양산기술 개발
따뜻하고 저렴한 미래형 신(新) 한옥 기술개발
건축물 맞춤형 화재제어 기술개발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유·무기 광(光) 흡수체를 이용한 고효율 박막 태양전지 최초 개발
PRIDE 통합비파괴측정장비(UNDA) 개발
경수로용 핵연료소결체(核燃料燒結體) 기술 수출 및 해외 시장 진출 기반 확보
노후 건축물 성능향상 및 재사용 기술
발전소 통합제어시스템 국산화 개발
친환경 농업을 이끄는 화분매개곤충 ‘뒤영벌’ 대량생산과 실용화 기술개발
침전/증류를 이용한 고효율 염폐기물(부산물염) 재생/분리기술 개발
세계 최초로 전자빔을 이용한 나노입자 제조공정 확립 및 장치 개발
중대형 연소시설 배출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하이브리드 집진(集塵)기술 개발
핵융합에너지를 활용한 전기생산용 열에너지 및 핵융합연료 증식 시험모듈 개발
154kV 초전도케이블 설계 및 평가 기술 개발
광산개발에 따른 지질환경재해 확산 제어 기술 개발
실시간 생물입자 탐지 기술 개발
마이크로 반응 시스템을 활용한 합성석유 제조기술의 개발
경수로 사용후핵연료 대용량 전해환원 공정개발
대규모 CO2 지중저장소 국내 최초 확인
Chapter 04 정보·전자
수상함(水上艦) 능동소나(SONAR)에 의한 잠수함 및 어뢰 탐지 시스템 개발
3D 페이셜 아바타(Facial Avata) 실감 분장 시뮬레이션 기술개발
무인정찰기용 장거리 EO/IR(Electro Optical Infra-Red) 탑재센서 개발
장거리 고해상도 3차원 영상 획득이 가능한 레이저 레이더 기술 개발
파장분할다중화와 광 코드분할다중화를 접목한 하이브리드 광가입자망(FTTH) 기술 개발
초간편/초고속 식품독소 다중검출 기기 및 차세대 암 진단 플랫폼 기술 개발
Mobile Device용 360도 Free Moving형 초소형 광(光) 포인팅디바이스 개발
플라스틱 기반 능동구동 컬러 전자종이 개발
해상감시 레이더를 이용한 다중 선박 위치 탐지 및 실시간 추적기술
대한민국 영해의 수호신 차기호위함(FFX-I) 전투체계 개발
부호이론(符號理論)적 다중 압축 센싱 기법을 활용한 차세대 핵심 기술 실현
교통사고 방지를 위한 차량안전서비스용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통신기술 개발
1m 이상에서도 휴대단말기 충전 가능한 원거리 무선전력전송 기술 개발
전자파를 이용한 유방암 진단 장치
LTE-Advanced 기술을 탑재한 이동통신 계측장비 플랫폼 개발
시선만으로 TV제어가 가능한 원거리 시선추적 기술개발
플렉서블 Plastic 기판 AMOLED 기술 개발
다중 카메라 기반 이동객체 추적기술
기존 디지털방송 서비스와 호환되는 지상파 3DTV 방송 시스템 기술 개발
Chapter 05 순수기초
폭발적 여과 상전이(相轉移) 메카니즘 규명
대장암 발생 및 진행에 있어서 Notch 신호의 역할 규명
전기 제어 가능한 테라파 그래핀(T-Ray Graphene) 메타물질 개발
역학 및 통계 기법을 이용한 상세 기후변화 정보 생산 기술 개발
광합성 효율을 증진하는 슈퍼 농생물체 원천기술 개발
혁신적 신약합성방법 기반 구축을 위한 촉매반응기술 개발
라만분광법을 이용한 그래핀 영률(Young’s modulus) 측정 기술개발
장거리 양자통신을 위한 이중재위상(二重在位相) 포톤에코(photon echo) 양자메모리
Chapter 06 인프라
레이더 및 광학영상을 이용한 농업생산 환경정보 관측·평가기술 개발
국가표준 가축 영양소 요구량 시스템 구축으로 선진축산 기반 마련
고속충돌시험체계 구축
희귀질환 연구 인프라 생산 및 정보 제공을 위한 한국인 돌연변이 데이터베이스 구축(Korean Mutation Database, KMD)
분산공유형 건설기술 연구기반 구축·운영
Chapter 07 후속연구 우수자·기술창업 우수기관
후속연구 우수자
신에너지 물질을 적용한 고폭화약 조성연구 및 시험평가체계 구축(2010년 선정)
백색 광원용 LED 및 OLED 기술 개발(2008년 선정)
국내산 양봉산물(봉독)을 이용한 고부가 실용화 소재 개발(2010년 선정)
기술창업 우수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주)매크로그래프
충북대학교 - (주)바이오톡스텍
정부연구개발 우수성과 이렇게 발굴했습니다
정부연구개발 우수성과 요약정보(분야별 연구자순)
맺음말
[내용]
대한민국 최초 우주발사체 개발 및 발사 성공(우리나라 최초 우주발사체 나로호 개발)
연구개발의 핵심은 바로 이것!
우주를 향한 대한민국의 첫 도전, 나로호!
위성 발사, 달탐사 등 독자적인 우주개발을 위해 우리나라 자체의 우주발사체가 절실한 상황에서 우리나라 최초 우주발사체인 나로호의 설계, 제작, 시험, 조립, 발사운영 등 개발. 전체 과정에 대한 프로젝트가 수행되었다. 마침내 2013년 1월 30일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하여 나로과학위성(STSAT-2C)을 목표궤도에 성공적으로 투입함으로써 대한민국 우주시대의 서막을 알렸다.
핵심요소 기술 확보 및 발사체 개발 전체과정에 관한 기술과 경험 확보!
나로호의 개발 및 발사 성공은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우리의 발사장(나로우주센터)에서 우리의 위성(나로과학위성)을 우리의 발사체(나로호)에 실어 우주로 보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또한 우리나라가 세계 11번째 우주독립국으로서 첫 걸음을 내딛었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 나로호 착수 이전 국내 발사체 기술 수준을 선진국 대비 46%에서 83%으로 향상시키고, 또한 나로호 개발 전반에 걸쳐 150여개 산업체와 45개 위탁연구를 통해 대학 등이 참여하여 국내 산·학·연이 종합적으로 발전함으로써, 발사체 독자개발을 위한 국내 자립기반을 확보하는 성과를 낳았다.
앞으로 이렇게 달라집니다!
대한민국의 우주시대를 열다!
나로호 개발을 통해 확보한 우주발사체 기술은 첨단기술 및 전통기술이 복합적으로 결합된 대형 융복합 기술이자 미래 고부가가치 첨단 산업의 초석으로서, 국내 기계, 소재, 전자, 통신, 제어, 추진, 극저온 유체 등 광범위한 분야로의 기술 파급효과(Spin-off)와 신기술 및 고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한 향후 우주경쟁 시대에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위성발사, 달탐사 등 우주개발과 상업 발사서비스 시장 진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눈에 보이지 않는 더 큰 부가가치 창출!
나로호 개발에 따른 생산유발효과는 3,629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365억원, 고용창출 효과 4,647명으로 추정되는(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9년) 등 우리나라의 우주개발 역량을 대내외적으로 공고히 하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나아가 국가의 총체적 과학기술력을 상징하는 나로호 개발은 우리나라의 국가위상 제고와 국민의 자긍심 고취에 기여하고, 청소년들이 과학기술의 꿈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