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GMO에 대해 알고 싶어요 - 2018년 개정판

  • 등록일2019-03-25
  • 조회수6306
  • 분류기술동향 > 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 자료발간일
    2019-02-07
  • 출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GMO
  • 첨부파일

 

 GMO에 대해 알고 싶어요 (2018년 개정판)

 

 

[목차]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는?  
 

LMO맨! GMO에 대해 알려주세요

 

유전자변형생물체는 무엇입니까?  

유전자변형 이전에는 어떻게 품종개량을 했습니까?

유전자변형생물체와 LMO, GMO는 다른 겁니까?
유전자변형생물체는 무엇에 유익합니까?
유전자변형생물체 이용 시 우려점은 무엇입니까?
우리 주변에 유전자변형생물체가 많이 있습니까?
어떤 제품이 유전자변형제품인지 아닌지 쉽게 알 수 있습니까?(표시제도)
표시제도가 잘 시행되고 있는지 어떻게 확인하고 있습니까?
비의도적 혼입치란 무엇이며, 유전자변형생물체의 비의도적 혼입기준은 어떻습니까?
유전자변형농산물은 얼마나 재배·유통되고 있습니까?
우리나라에서도 유전자변형작물이 재배되고 있습니까?
LMO법에 따라 승인을 받고 수입된 유전자변형생물체가 있습니까?
수입된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용도는 무엇입니까?

 
유전자변형생물체는 안전합니까?  

유전자변형생물체는 인체에 안전합니까?
인체용 의약품 유전자변형생물체는 규정대상에서 제외됩니까?
유전자변형생물체는 환경에 안전합니까?
식용·사료용·가공용 유전자변형생물체(LMO-FFP)의 경우는 환경위해성심사를 하지 않습니까?

후대교배종의 위해성심사는 어떻게 이루어집니까?


LMO법은 무엇이고, 왜 만들었습니까? 

바이오안전성의정서는 무엇입니까?
세계 각국에서도 유전자변형생물체와 관련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까?
LMO법을 위반하면 처벌을 받습니까?

유전자변형생물체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면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까? 

 
LMO법에 따른 절차는 어떻게 됩니까?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연구개발절차는 어떻게 됩니까?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수입절차는 어떻게 됩니까?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생산절차는 어떻게 됩니까?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유통·보관절차는 어떻게 됩니까?
소비자의 알 권리는 어떻게 됩니까?

 

일반인들은 유전자변형생물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습니까? 

우리나라의 인식 상황은 어떻습니까?


국내외 유전자변형생물체 주요 통계  

| 국내동향 |
유전자변형생물체 시험연구(수입신고, 연구시설, 개발승인)관련현황
유전자변형생물체 위해성심사 현황
유전자변형생물체 국내 수·출입
유전자변형생물체 공공인식


| 국외동향 |
세계 유전자변형작물 재배 현황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당사국 현황

 
유전자변형생물체 안전관리 관련 사례  

| 해외 사례 |
유전자변형생물체 때문에 대량 사상자가 발생했다? L-트립토판 사건
유전자변형생물체를 먹으면 알레르기가 생긴다? 브라질 넛 사건
유전자변형생물체를 먹으면 면역 기능 저하? 푸츠타이의 감자 실험
Bt 옥수수를 먹으면 나비가 죽는다? 군주나비 유충 사건
유전자변형생물체에 삽입된 유전자가 장기내로 전이? 예나대학의 꿀벌 실험
사료용 옥수수를 사람이 먹었다? 스타링크 옥수수 사건
유전자변형 옥수수 먹으면 콩팥에 이상 발생? MON863 옥수수
유전자변형 콩이 태아에 위험? 러시아 과학자의 LMO 콩 실험
유전자변형 목화로 인해 양떼가 죽었다? 인도 양떼 사건
유전자변형옥수수가 생쥐의 개체수와 크기를 감소시켰다? 先玉335 옥수수
미승인 밀이 재배되고 있다? MON71800 밀
미승인 밀 재발견? MON71700
오랜지색 페튜니아가 유전자변형? 미승인 GM페튜니아 발견

캐나다 알버타州, 미승인 밀 발견 MON71200

 

| 우리나라 사례 |
아르헨티나産 밀 수입 선적물에서 미승인 GM밀(MON71800) 발견
축제장에 미승인 GM유채꽃이? GM유채 불법 식재

미승인 LMO변화, 재배지에서 발견? MON531

 

[내용]

 

유전자변형생물체는 무엇입니까?

 

유전자변형생물체(LMO: Living Modified Organisms)는 현대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하여 새롭게 조합된 유전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동물, 식물, 미생물을 말합니다(LMO법 제2조 제1호).


● 구체적 사례
?미생물 : 인슐린 생산 E.coli (Elly & Co.), 타가토스생산 Crynebacterium (CJ) 등
?식물 : 제초제내성/해충저항성 콩, 옥수수, 카놀라, 면화 (바이엘, 신젠타, 다우...) 등
?동물 : 속성장연어(AquaBounty), 전염병차단 모기(Oxitec), 혈액응고방지제 생산 염소(GTC) 등

 

유전자변형작물 이외에도 환경정화를 목적으로 하는 나무, 인간질환을 연구하기 위한 모델동물, 빠르게 성장하는 연어, 고기능 효소 생산을 위한 미생물 등 다양한 분야에 유전자변형기술이 적용된 유전자변형생물체를 연구개발·생산·이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벼, 고추, 상추, 잔디 등의 유전자변형작물, 장기이식을 위한 돼지 등의 유전자변형동물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상업화된 사례는 없습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GM작물이 상업적으로 재배되지 않고 있습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