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장내 마이크로바이움과 면역반응에 대한 영향

  • 등록일2019-03-26
  • 조회수6130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9-03-21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장내세균#면역반응#IBD
  • 첨부파일

 

 장내 마이크로바이움과 면역반응에 대한 영향

 

 

[요약문]

 

인체에는 1000종, 100조가 넘는 장내세균이 존재한다. 장내세균총은 면역 및 대사과정을 통하여 host와 복잡한 상호작용을 형성하여 항상성을 유지하고 있다. 장내세균총을 구성하는 균종의 변용 및 이상증식, 감소현상을 dysbiosis라고 하며, 인체의 장관조직뿐만 아니라 전신의 면역계, 대사반응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방간염 및 metabolic syndrome, 류마티스, 자폐증, 다발성 경화증 등 다양한 질환에 dysbiosis가 크게 기여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최근, 장내세균 해석기술의 발전에 의해, 인체의 장내세균총을 구성하는 균종의 동정뿐만 아니라, 장내세균의 대사과정 및 단백질 발현 등으로 인한 복잡한 상호관계가 밝혀지고 있다. 또한, 장내 상피세포 및 면역세포와 장내세균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자 및 유전자 발현 메커니즘에 밝혀지고 있으며, 다양한 질환의 병태학적 해명 및 새로운 치료대상으로서의 실용화가 기대되고 있다. 특히, 염증성장질환에 대한 Clostridium butyricum의 염증 억제작용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그리고, 장내세균총을 대상으로 한 FMT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의 실용화를 향한 검토가 진행되고 있는 단계이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장내세균총의 해석기술
  2.2 인체 장내세균총의 구성
  2.3 장관점막에 대한 방어기작
   1) 상피벽
   2) IgA와 장관면역
  2.4 장내세균과 장관염증
   1) Th17 세포와 장내세균총
   2) Treg 세포와 장내세균총
3. 결론
4. 참고문헌

 

[내용]

 

1. 서론


 인체의 장관조직 내에는 1000종, 100조 개가 넘는 장내세균이 존재하고, 독자적으로 상당한 종류의 유전자를 발현하고 있다 [1]. 장관조직에는 장내세균총 및 병원체에 대한 방어작용이 존재하지만, 장내세균총과 host의 면역기능과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장관면역의 항상성에 크게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음식물의 대사로 대표되는 host와 대사산물 및 영양과의 관계에서도 장내세균총으로부터 다양한 영향을 받게 되며 공생관계를 이루고 있다.

 

장내세균총의 구성균종이 변용하여 양적 및 질적 unbalance를 초래하는 dysbiosis가 발생하게 되면, 장관면역의 항상성이 파괴되어 비이상적인 면역반응과 대사반응이 발생하게 된다. 최근, 염증성장질환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및 과민성장증후군과 같은 소화기질환뿐만 아니라, 비알콜성지방간염, 비만, 당뇨병, 다발성경화증, 파킨슨병, 관절류마티스, 자폐증 등 다양한 분야에서 dysbiosis와의 관련성이 보고되면서, 새로운 치료타겟으로서 장내세균총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IBD의 발병에는 dysbiosis에 의한 장관면역의 항상성이 파괴되어, 만성적인 염증반응이 발생하게 되는 점이 알려지고 있다. 본 리포트에서는 장내세균총과 장관면역과의 상호작용, IBD와의 관련성에 대해서 서술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