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음성인식 가상비서 기술 동향 및 전망
- 등록일2019-04-29
- 조회수5354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19-04-19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음성인식#가상비서
- 첨부파일
음성인식 가상비서 기술 동향 및 전망
김돈정PD / KEIT 지식서비스PD실
SUMMARY
□ 인공지능에 기반한 음성인식 기술의 발달로 음성인식 가상비서 시장이 급격히 확대되고 다양한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음성인식(ASR), 음성이해(NLU), 음성합성(TTS) 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소통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
○ 음성인식 가상비서의 대표제품인 스마트스피커는 아마존을 필두로 2018년 누적 1억대가 보급되어 미국에서는 케즘(Chasm)을 넘어 일상화의 단계에 있다.
○ 서비스는 음성 UX의 장점을 기반으로 Q&A, 음악, 날씨, 스마트홈 서비스로 활성화되어 스마트폰의 사용량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였다.
□ 시사점 및 정책제안
○ 스마트스피커의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형태, 가전제품 내재화로 진화하고, B2C 중심 서비스에서 호텔, 아파트, 회사 등 B2B로의 다양한 형태가 시도되고 있다.
○ 개인정보 보호 측면, 인간과 기계의 협업 관점, 1인가구/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고려가 필요하다.
○ 타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부가가치 제고라는 지식서비스R&D 관점에서 음성인식 가상비서의 산업현장 도입과 새로운 BM 창출의 기술로의 활용이 필요하다.
1. Intro
□ 음성인식 가상비서의 등장
○ 매년 벽두에 열리는 CES(Consumer Electronics Show)는 50년 전통의 세계최대 가전전시회이다. 매해 휘황찬란한 디스플레이의 향연이 펼쳐지지만 2018년부터 참가한 두 회사로부터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 바로 아마존(Amazon)과 구글(Google)이다.
- 아마존의 ‘알렉사(Alexa)’와 구글의 ‘HeyGoogle’로 알려진 음성인식 가상비서(Voice Assistant) 플랫폼은 가전을 비롯한 IoT 디바이스들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고, 금년 CES에 전시된 가전제품에 본격 내재화되기 시작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