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dustry

(BioIN + Industry) : 바이오 산업별 시장현황 및 전망정보 제공

글로벌 세포뱅킹(Cell Banking) 시장현황 및 전망

  • 등록일2015-05-07
  • 조회수13165
  • 분류제품 > 바이오자원

 

 [BioINdustry No.92] 글로벌 세포뱅킹(Cell Banking) 시장현황 및 전망

 

 

 

※ 아래 내용은 Frost&Sullivan에서 발간한 'Emerging Trends in Cell Banking - Trends in Master and Working Cell Banking(2014)' 보고서를 참고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주요 내용]

 

 

1. 세포뱅킹(Cell Banking) 개요

  1) 세포뱅킹 정의 및 분류

 

    □ 세포뱅킹(Cell Banking)이란 위탁 받은 여러 배양 세포주를 장기간 유지 및 관리하고 필요시 업체나 연구 기관에

 

         공급하는 보관 서비스

      ○ 다양한 세포 기반 응용을 포함하는 연구 및 신약개발을 위한 세포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며, 동결보존 등과 같은

          설비를 갖춤으로써 지속적인 세포 관리 서비스 제공

         - 저장된 세포는 체계적인 절차에 의해 관리되며 고객의 요구에 따라 세포 운반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종합 서비스
      ○ 세포 은행에는 즉각적으로 바이오의약품 업체나 연구실 등의 즉각적인 고객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3가지로 분류

         - 마스터 세포은행(Master Cell Bank, MCB), 작업용 세포은행(Working Cell Bank, WCB), 임상용 세포은행(Clinical

           Cell Bank, CCB)으로 분류

     ○ 세포뱅킹 서비스*는 세포주 개발에 1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며, 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제조까지는 평균 2~3년의 기간이 소요

            * 현재 세포뱅킹 서비스는 단기 보존이 가능하지만, 지속적으로 세포 저장 기술개발로 보존 기간 연장 예정

 

 

캡처.JPG

             ※ 출처: Frost&Sullivan, Emerging Trends in Cell Banking(2014),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2) 최근 세포뱅킹 산업 이슈

    □ 유전자치료제, 줄기세포치료제, 항체 등 바이오의약품의 활발한 개발로 세포뱅킹 서비스 활용이 증대될 전망
      ○ 최근 세포 및 유전자치료제 개발 급증으로 인해 세포뱅킹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

         - 차세대 세포치료제뿐만 아니라 재생의학과 신약개발, 약물 테스트 등에 다양한 세포주가 활용됨에 따라 세포

           뱅킹 산업 확대

    □ CMO 위탁 프로젝트 확장은 제약업체의 내부 기술 및 설비 부족이나 기술 및 전문가 부족 등으로 인한 아웃

        소싱 의뢰 증가에 기반

      ○ 업체는 임상 진행 절차 중 특정 단계에서 비용 절감에 효율적이라고 판단되거나 높은 생산성을 얻기 위해

          아웃소싱 의뢰

         - 제약업체 관리자로부터 요구사항이 전문화되고 있으며 불규칙한 바이오의약품업체의 제품 특성상 업체의

           스케쥴에 맞는 유동성 요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로그인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