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 능 | 검색식 예 |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 (기계 | machine)) |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TI:(나노 & 기계) |
ㅣ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된 문서 검색 | 예1) TI:(줄기세포 | 면역) |
~ | ~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TI:(황금 ~ 백금) |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홈 > 지식in > BioINpro
u-Health 서비스의 상용화 현황 및 전망 |
||||||||||||||||||||
---|---|---|---|---|---|---|---|---|---|---|---|---|---|---|---|---|---|---|---|---|
|
||||||||||||||||||||
Bioin스페셜 WebZine 2012년 29호 [u-Health 연구동향]
u-Health 서비스의 상용화 현황 및 전망
김홍진, ㈜인성정보 u-Health사업부 본부장
1. 서론
u-Health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의료 관련법, 보험제도 등 법제도 환경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나라는 단일 의료보험체제를 바탕으로 비교적 강력한 관리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의료시스템이 제도화되어 있어, 새로운 서비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어, u-Health 서비스의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국내 법제도상 제약요인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또한, u-Health 서비스가 활성화되려면, 관련 제반 산업이 적절히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u-Health 산업에 대해서는 여러 형태의 보고서가 발표된 바 있으나, 대부분 특정영역의 관점에서 작성된 관계로, 산업전반의 구조를 조망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어 왔다. 일단, 널리 인용되고 있는 u-Health 산업 분류로는“서비스의 특성과 대상을 기준으로 하는 분류”로 u-Health를 크게 헬스케어형과 웰니스형으로 분류하고 다시 헬스케어형을 IT기술의 이용자를 기준으로 u-Hospital군, 홈&모바일군으로 분류하는 방법이 있다1). 그러나 본 분류방식은 산업의 전체 구조를 다루지는 않고, 서비스 공급자를 중심의 분류여서 산업의 구조와 맥락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
친구에게 이 자료를 추천하기
[시장분석] 유헬스케어(U-Healthcare) 산업의 특성과 시장 환경 | 2016-11-22 |
유헬스케어 의료기기 시스템 허가심사 가이드라인 | 2016-09-12 |
식약처, 유헬스케어 의료기기 제품 교육 실시 | 2016-06-28 |
‘u-Health Zone’에서 생체나이서비스 제공 | 2016-01-06 |
유헬스케어기기, 원격의료 정치적 논쟁 매몰돼선 안 돼...의료기기산업협회 이광순 부회장 | 2015-11-16 |
유헬스케어 의료기기 허가심사 보완 및 민원 질의 사례집 | 2015-07-06 |
원격의료 논란에 발목 잡힌 '한국 유헬스케어'경쟁력 제고 위해 명확한 규정 등 필요 | 2015-04-27 |
'유헬스산업 발전하나 정책은 정체' 의료기기 업계 | 2015-04-24 |
유헬스, 정부예산 가는 곳이 사업기회..현대경제연구원...유망 육성분야 제시 | 2015-01-02 |
유-헬스케어(u-healthcare)의 현황 및 과제 | 2014-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