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당뇨병 관련 의료산업 어디까지 왔나?
- 등록일2006-05-16
- 조회수1170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06-05-16
-
출처
보스턴 총영사관
-
원문링크
-
키워드
#당뇨병
당뇨병 관련 의료산업 어디까지 왔나?
개요
현재 서구는 물론, 아시아에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당뇨병 인구에 대한 심각성이 부각되면서 당뇨병 관련 치료 및 의료기술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높아져 가고 있다. 미국내에서도 심장병, 암, 에이즈와 함께 많은 연구비용이 투자되고 있는 당뇨병은 크게 제1 형과 2형 당뇨병 2가지로 나눠지며 현재 그와 관련된 치료요법도 다르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제 2형 당뇨병과 함께 동반되는 당뇨 합병증은 만성적 질병으로서 치료, 모니터링, 진단, 예방등 다양한 차원에서의 새로운 기술 및 생산품이 연구개발 되고 있다. 하버드의대소속 Joslin Diabetes Center에서 당뇨병 관련 의료기술 생산품의 임상실험을 하고 있는 Dr. William Hsu 와의 인터뷰를 통해 현재의 당뇨병의료산업분야에 대해 알아보았다.
[아시아 질병, 당뇨병]
인도 및 중국을 비롯하여 한국, 대만,일본등 아시아나라들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는 당뇨병의 인구는 나라당 전체인구의 약 8-12%에 해당하며 약 20-30년후에는 지금의 2-3배가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나 현재 당뇨병의 완전한 치료방법을 밝혀져 있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현재 치료법은 당뇨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인슐린을 체내로 주입하는 것이 최선책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마도 멀지 않아 Joslin Diabetes Center의 Dr. George King에서 연구한 당뇨합병증 치료제인 PKC-beta target 약품이 선보일 것으로 생각되며 줄기세포치료 요법도 미래의 당뇨병 치료요법중의 하나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당뇨병의 범주는 table 1을 참고)
(클릭!)
Table 1. Target ranges for blood glucose levels in patients with diabetes Patient status Pre-meal mg/dL (mmol/L) < Post-meal mg/dL (mmol/L) | |
Healthy 70-140 (4-8) <160 (9)
| |
Prone to hypoglycemia 90-160 (5-9) <180 (10)
| |
Pregnant 60-90 (3.5-5) <120 (6.5)
|
[당뇨병 관련 의료기술 및 최첨단 기술 개발]
당뇨병 치료목적의 기술 (therapeutic technology) 차원에서 말하자면, 실제로 많은 의료회사에서는 당뇨병관련 의료기기를 생산하고 있으나 제 생각에는 좀 더 임상적으로 응용될 수 있는 생산품 개발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바로 제가 하고 있는 임상연구활동이라 볼 수 있으며 임상실험을 통해 저와 같은 의사 및 환자들로부터의 직접적인 의견을 모아 보다 실제적인 요소를 겸비한 제품을 생산하는 것입니다.
당뇨병관련 의료 기술로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 하나가 Internet, wireless, software등의 IT 기술 (information technology)이며 다른 하나는 pumps (fig 1), 구강, 주사, 또는 patch (붙이는 것)등과 같은 방법으로 인슐린을 체내에 주입시키는 drug delivery기술이며 또 다른 하나가 혈당양을 측정하는 glucose-sensing 기술 (glucose monitoring system)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생각하는 첨단 의료기술은 바로 현재는 각각 분리되어 있는 이러한 3가지 기술을 하나로 만드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자동적으로 측정된 환자의 혈당양 관련 정보 (glucose-sensing) 가 drug delivery system으로 전달되어 환자에게 약이 투입되는 동시에 그와 관련된 정보가 여러 IT기술을 통하여 의사들에게 입력되는 것입니다. 현재 가장 hot한 분야로는 glucose-sensing 부분이라 할 수 있으며 제가 알기로는 이러한 기술과 IT기술을 합쳐서 측정된 혈당양이 cell phone (핸드폰)에 입력되어 자동적으로 그 정보가 data base로 저장되는 기술을 한국 회사에서 개발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당뇨병 관련 기술들이 merge되어 최첨단으로 소형화되고 모든 것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는 기술이 하루 빨리 개발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Fig 1. Insulin Pump Therapy
[아시아와 한국의 의료산업 발전전망]
아시아는 몇가지 큰 장점을 갖고 있는데 예를 들어, 미국에는 이미 몇백년전에 존재해왔던 infrastructure에 의해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첨단산업으로 완전히 바꿔 놓는 것이 어려운 상황인데 비해 아시아는 모든 것을 새롭게 개발할 수 있는 여건이 되며 그에 덧붙여, 이미 서구에서 개발된 기술을 받아들여 그것을 더 좋은 성능의 것으로 바꿔 놓을 수 있는 경쟁적인 사회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많은 의료기술 (medical device)이 computer, 전자 (electronics)와 IT산업과의 combination으로 더욱 더 발달해 나가고 있는 이 시점에서 지난 20년간 삼성, 현대와 같이 IT산업을 급속도로 성장시켜 온 한국은 이러한 기술을 BT산업에 투자함으로써 의료산업분야에서 최첨단을 달릴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참고]
클릭! Joslin Diabetes Center's Asian American Diabetes Initiative (AADI)
클릭! Medtronic (Insulin pumps or glucose monitors)
Inteviewee : Dr. William Hsu. MD.
보스턴 하버드의대소속의 Joslin Diabetes Center에서 Asian Clinic의 director이자 Asian American Diabetes Initiative의 co-director를 역임하고 있는 Dr. William Hsu는 뉴욕의 Cornell University에서 학부를,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에서 MD를 받은 후 Yale New haven Hospital에서 레지던트를 마쳤으며, 그 이후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와 Joslin Diabetes Center에서 내분비와 대사분야 (endocrinology, metabolism)에서 임상 training을 마쳤다. 현재 그의 연구분야는 Asian Americans의 당뇨병 원인규명과 당뇨병치료를 위한 novel medical technology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지식